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들어가는 말
2.「시간어구+就」를 포함한 문장과 시제
3. 시간부사 就에 대한 재해석
4. 나오는 말
【參考文獻】
【中文提要】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現代漢語副詞"就"的語義分析
중국어문학논집
2004 .11
중국어 부사 ‘就’ 연구사 소고
중어중문학
2014 .04
부사에 대한 이해정도 분석 : 중학교 교재를 중심으로
언어과학연구
2012 .09
副詞“就”、“才”再探討
중국어문논총
2019 .01
중국의 한국어 듣기 교재 제시대화문에 대한 계량언어학적 연구- 부사의 쓰임을 중심으로
인문논총
2015 .01
국어 정도부사의 고찰
동악어문학
1988 .12
现代汉语“X就X”结構的構式义分析
중국어문학논집
2014 .08
양태부사의 사용에서 나타나는 몇가지 문제
중국조선어문
2010 .05
러시아어 부사류 연구 : 문장부사의 위계를 중심으로
노어노문학
2008 .09
어휘부 구축을 위한 현대 한국어 부사의 기술 : 한국어 부사 분류와 기술의 문제
언어학
1999 .06
中介語理論을 통한 작문에서의 ‘就’ 사용의 오류 분석
중국어문학논집
2004 .08
시간부사의 통시적 고찰 : 노걸대의 이본을 중심으로
언어과학연구
2001 .12
정도부사의 범주화 기준에 대하여
어문학
2002 .12
관형사와 부사의 품사 설정에 대하여 : 이른바 체언 수식 부사를 중심으로
한국어학
2009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