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머리말
Ⅱ. 某省과 內視令
Ⅲ. 문서의 작성절차와 용도
Ⅳ. 지방 관부와 촌락
Ⅴ. 맺음말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충남지역 동제의 성격과 제의구조 고찰
어문연구
2009 .01
高麗後期 農地改墾과 新生村
역사와 담론
2003 .04
일제시기 촌락 재편과 촌락의관습법적 성격
대구사학
2006 .01
안동지역의 제례에 따른 음식문화(II) -동제(洞祭)와 제물(祭物)-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996 .01
평택 칠원 마을이 최우수 새마을이 된 사연
역사와현실
2009 .12
The Underground Village
Korea Journal
1976 .04
설화에 의한 문화주권 인식과 마을문화 읽기
어문학
2008 .03
1970년대 원주지역의 부락개발사업 연구 : 재해대책사업위원회의 초기 활동을 중심으로
역사와현실
2011 .12
제2차 교육과정기 이후 『한국사』 교과서의 「新羅村落文書」 서술 변천
역사교육
2019 .12
마을 天祭의 구조와 성격
한국민속학
2019 .05
新羅 中古期 행정촌 · 자연촌 문제의 검토 : 城山山城 木簡과「冷水里碑」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
2007 .12
The People of Crane Village
Korea Journal
1973 .05
광주ㆍ전남지역의 당산제 연구(3) : 전승과 변화의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민속학
2001 .12
The Study of Korean Villag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Colonial Modernity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10 .08
마을 만들기와 마을민속의 활용방안
한국민속학
2008 .11
함안 성산산성 목간으로 본 6세기 신라 촌락사회와 지배방식
목간과문자
2019 .06
조선후기 평민 동성촌락의 성장
민족문화연구
2010 .01
서울 백사마을 여성 공동체의 형성과 변화
서울민속학
2014 .12
Seaside Village
Korea Journal
196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