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머리말
Ⅱ. 新羅村帳籍의 作成年度
Ⅲ. 新羅村帳籍과 村의 性格
Ⅳ. 孔烟과 計烟
Ⅴ. 맺음말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신라 촌락문서의 計烟과 孔烟-中國ㆍ日本의 戶等制, 年齡等級制와의 비교검토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
2001 .03
조선 후기 호적, 호구의 성격과 새로운 쟁점
한국사연구
2006 .12
新羅의 烟受有田ㆍ畓과 孔烟
한국사연구
2002 .03
일제시기 民籍簿의 작성과 女性戶主의 성격 ―19세기 濟州 戶籍中草, 光武戶籍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2007 .01
조선후기 호적에 대한 이해 : 논쟁과 과제
한국사연구
2014 .06
조선왕조의 戶籍과 통치체계
동양사학연구
2015 .06
공공성의 관점에서 본 한국 토지보유세의 역사와 의미
역사비평
2011 .02
新羅時期의 丁田制
역사교육
2002 .06
20세기 후반 고려 전시과 연구의 定礎 : 《高麗土地制度史硏究》를 통해본 강진철의 연구 성과와 의의
한국사연구
2009 .06
백제 5方制 하의 수취체제
역사학보
2005 .03
경남 창원지역 토지조사의 시행과정과 장부체계의 변화
역사와현실
2007 .09
신라 中古期 結負制의 시행과 그 기능
한국고대사연구
2001 .03
조선 전기 ‘토지(土地)’ 용례와 군현의 공액 분정
역사와현실
2019 .03
한말 일제초기 공토 정책과 국유민유 분쟁
한국민족문화
2012 .11
These People in This Land
Korea Journal
1971 .07
19세기 조선과 베트남의 토지개혁론에 대한 비교사적 검토 : 토지소유를 둘러싼 제도와 관습의 차이를 중심으로
역사학보
2010 .06
고려시대 출생자(出生者)의 파악과 호적(戶籍)
역사와현실
2008 .09
러시아 토지 사유화의 전개과정 토지법을 중심으로
슬라브학보
2006 .03
중국의 도시화와 공공토지 사유화
역사비평
2016 .08
조선후기 경상도 지역 양반층의 토지소유규모와 지가의 변동
역사와경계
2010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