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감사의 글
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Rue(Ruta graveolens L.) 추출물의 Helicobacter pylori 에 대한 항균활성과 생리활성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5 .04
복분자(Rubus coreanum F.) 열수 및 에탄올추출물의 생리활성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5 .07
유근피(Ulmus pumila)로부터 분리한 phenol성 물질의 건강기능식품 활성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2012 .12
Thyme(Thymus vulgaris L.) 추출물의 Helicobacter pylori 억제효과 및 생리활성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2006 .01
노간주나무(Juniperus rigida Sieb)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α-amylase와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활성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2014 .06
산딸나무(Cornus kousa) 열매 추출물의 생리활성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2015 .01
프로폴리스 용매별 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5 .01
유근피 추출물의 생리활성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2012 .02
참취(Aster scaber) 추출물의 생리활성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2016 .06
산벚나무(Prunus sargentii R.) 수피의 화장품활성에 관한 연구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2008 .01
구기자(Lycii fructus) 추출물의 항산화와 항고혈압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5 .11
물레나물(Hypericum ascyron L.)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소 억제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18 .01
번행초(Tetragonia tetragonioides)로부터 추출한 Phenolic Compounds의 미용 식품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16 .03
대두와 쥐눈이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2014 .06
에탄올 농도에 따른 미나리 추출물의 영양성분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15 .06
주름조개풀(Oplismenus undulatifolius)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소 억제 효과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2017 .01
오가피(Acanthopanax sessiliflorum) 열매 추출물의 생리활성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2012 .08
청미래덩굴(Smilax China L.) 추출물의 항산화 및 α-amylase와α-glucosidase 저해활성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2014 .04
신품종 그린볼(Green ball; Malus pumila Mill.) 사과의 기능성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2018 .12
쇠무릎 잎과 줄기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14 .0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