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시작하는 말
2. 셰익스피어의 작품 하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의 모든 작품을 읽어야만 하는가?
3. 『햄릿』은 왜 실패작인가?
4. 엘리엇은 로고스 지상주의자(至上主義者)이다
5. 객관적 상관물은 로고스에 의한 욕망의 억압이다
6. 키츠(Keats)의 〈마음 비우기 시학〉, 엘리엇의 〈탈개성의 시학〉, 그리고 바르트의 작가의 죽음
7. 나가는 말
인용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엘리엇(T. S. Eliot)의 셰익스피어 비평 : 『햄릿』은 예술적 실패작인가?
Shakespeare Review
2008 .12
T. S. Eliot의 Shakespeare 비평
Shakespeare Review
1975 .04
‘객관적 상관물,’ ‘대상 a’ 그리고 ‘맥거핀’— 엘리엇, 라깡 그리고 히치콕
현대영미시연구
2009 .01
An Analysis of But/Other Than-Correlatives as ‘But/Than’ Clefts
어학연구
2005 .12
Ezra Pound the Imagist: Major Source of T. S. Eliot’s Early Poetics
영어영문학21
2010 .01
Case theory
영어영문학
1987 .10
예이츠와 엘리엇: 예이츠에 대한 엘리엇의 재조명 및 예이츠의 마스크
한국 예이츠 저널
2013 .01
An areal-typological view on the distribution of WH correlatives in the Tungusic languages
알타이학보
2012 .01
T.S.Eliot's Influences on New Critics
코기토
1968 .12
엘리엇의 시: 기표의 좌절과 극복 -없음과 있음의 미학-
영어영문학연구
2009 .01
The Case of Correlatives : A Comparison between Natural and Planned Languages
Journal of Universal Language
2011 .09
예이츠와 엘리엇: 시의 창작원리의 비교연구
한국 예이츠 저널
2012 .01
글쓰기의 관점에서 T. S. Eliot의 초기시 연구
새한영어영문학
1995 .10
T. S. 엘리엇의 『황무지』 또다시 읽기
현대영미시연구
2008 .01
엘리엇 시에 나타난 인식의 변환
영어영문학연구
2006 .01
Eliot 문학의 종교성
신학지남
1973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