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음성학회 음성과학 음성과학 제15권 제2호
발행연도
2008.6
수록면
7 - 19 (13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Information structure can be conveyed by prosodic structure (Poser 1984 for Japanese; Inkelas and Leben 1990 for Hausa; Cho 1990 for Korean; Hayes and Lahiri 1991 for Bengali; Selkirk and Shen 1990 for Shanghai Chinese). Different subfields of linguistics and different theoretical perspectives suggest many distinct types of information structure: topic vs. comment, focus vs. background. old vs. new information, et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phonetic realizations of focus and topic among these information structures in Korean. For this purpose, we conduct a phonetic experiment where we examine duration, pitch and dephrasing in focus and topic structures. We make four findings through this study. First, duration of 'nun' varies depending on the information structure of the following constituent. Second, the degree of accentual phrase-initial rising is larger in contrastive topic and focused phrases than in neutral phrases. Third, a contrastive topic phrase always constitutes an Intonation Phrase on its own. Fourth, dephrasing occurs variously depending on gender and the number of the syllables within a phrase.

목차

ABSTRACT
1. 서론
2. 한국어 ToBI(Korean Tones and Break Indices)
3. 한국어 정보구조의 음성실현에 대한 선행연구
4. 음성실험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09-701-0148158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