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머리말
2. 지역사에서의 ‘전통’ 쓰기
3. 한국전쟁의 경험
4. 전쟁후체제와 건쟁기억의 재현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전쟁의 기억’과 ‘기억의 전쟁’ : 특별한 피난체험을 중심으로
통일인문학
2014 .03
War and Memory in Korean History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04 .09
한국전쟁경험과 공동체적 기억 : 영암 구림권을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2002 .11
암호화(暗號化)화된 전쟁 기억과 해호화(解號化)로서의 문학교육
문학교육학
2010 .01
Breaking the Seal of Memory : A New Perspective on Memory of the Korean War in Korean Novels1 after the Post-Cold War Era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06 .06
조은의 『침묵으로 지은 집』에 나타난 전쟁 기억의 해체와 재구성
인문학연구
2015 .06
전장의 시뮬라크르 : 박영희의 『전선기행』을 중심으로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07 .12
김원일 소설의 ‘기억’과 ‘회상’ 연구
우리문학연구
2013 .06
전쟁 기억과 전후 중일외교의 중층구조 - 전쟁종료문제의 인식과 해석의 어긋남 -
日本思想
2013 .01
Ordinary People’s War Stories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06 .06
기억에 관한 기독교교육적 연구
기독교교육정보
2006 .12
집단기억과 역사
역사교육
2003 .03
한국전쟁기 전쟁시의 국가주의의 시선
한국시학연구
2008 .04
아동문학 작품에 드러난 베트남 전쟁의 반기억 연구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19 .12
‘전승 60주년’과 북한문학의 표정 : 『조선문학』(2013.7) 소재 소설에 나타난 전쟁기억의 양상
돈암어문학
2013 .12
한국전쟁 60년, 한반도와 세계
역사비평
2010 .05
The Korean War 1950-1953
Korea Journal
1967 .07
로컬 기억과 기억의 정치-폴란드 에드바브네 유대인 학살 기억의 사례-
대구사학
201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