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악산 국립공원에 적합한 자연환경해설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본 연구는, 자연환경해설 프로그램의 내용과 수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2004년 7월에 월악산 국립공원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198매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월악산 국립공원의 자연자원 및 문화와 역사유적에 대한 방문객의 지식정도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방문객의 지식수준은 높았으며, 월악산의 자연자원 및 문화와 역사유적에 대한 학습의 필요성과 지적호기심은 높게 나타나 이용경험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자연환경해설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2. 방문객들의 월악산에 대한 지적호기심을 5단계 리커드 척도로 분석한 결과 문화와 역사와 유적(3.46)에 대하여 가장 알고 싶어 했으며, 초본류 및 야생화{3.38), 야생동물(3.31), 수목(3.27), 지질(3.23), 곤충(3.01)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3. 방문객들의 자연자원 및 문화와 역사유적 등의 구체적 항목에 대한 지식수준을 10점 만점으로 평가한 결과, 야생동물(6.72), 문화와 역사유적(6.52), 곤충(6.19), 야생화{5.83), 수목(5.76), 그리고 조류(5.19)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 계층적 분석에 의하면, 남자가 여자 보다 높았으며, 고 연령층 그리고 저학력에서 높게 나타났다. 학생집단이 직업별로 는 지식수준이 제일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월악산 국립공원 자연환경해설 프로그램에의 참가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한 결과 전문직에 종사하는 방문객, 이전에 유사한 해설 프로그램의 경험이 있는 방문객 학력이 높은 방문객 공원 이용만족도가 높은 방문객의 참가의사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방문객의 성별, 연령, 동반자수, 지식수준 등은 참가의사에 크게 영향을 끼치지는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월악산 국립공원 방문객들은 월악산 국립공원의 자연자원 및 역사 유적의 학습에 대하여 강한 호기심을 나타내고 있으며, 자연환경해설 프로그램의 실시 및 참여에 대하여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문객들의 지식수준과 특성은 사회 계층적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다양한 이용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자연환경 해설프로그램을 실시하여야 하며 프로그램 참가 후 방문객들로부터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만족도 등 결과를 평가하는 등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전체적으로, 월악산 방문객들이 자연환경해설 프로그램에 대하여 높은 호응도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contents and the level of interpretative program for the Woraksan National Park. To achieve this goal, it is analyzed that 198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through the Woraksan National Park, visitors in July of 2004. The results as follows: 1. Woraksan National Park’s natural resources and historical resources that they have more than average knowledge about the park’s resources. The level of desire and curiosity for learning about natural resources and historical resources was high. So, it is necessary for the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program to be introduced. 2. The intellectual curiosity figure for Woraksan National Park scaled shows that visitors have highest interest to know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3.46), herbs and wild flowers (3.38), wildlife (3.31), trees (3.27), Geology (3.23), and insect (3.01) are at similar level. 3. The result of appraising the knowledge level of natural resources and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by 10 items(wildlife 6.72,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6.52, insects 6.19, wildflower 5.83, trees 5.76, and birds 5.19) shows that levels are average overall ; As a results of the analysis, social strata shows that the points gained by male was higher than those of female. The elderly, the lower educated visitors score higher points, and that students groups got shows the lowest points. 4.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affect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is interpretative program shows that well-educated visitors, experienced visitors of interpretive programs or similar materials and the specialists are high. On the other hand, the factors such as gender, age, group size of visitors, and knowledge level did not affect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interpretative program. This research shows that visitors have strong willingness to learn the park resources and are positive to the performance and participation of interpretive program. The knowledge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visitors are various on their social strata. Interpretive program must be performed after due consideration of visitor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ir feedback and further research. Overall, it reveals that Woraksan National Park's users have interested and positive response to the interpretative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