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머리말
Ⅰ. 발해문화의 담당층으로 본 계승
Ⅱ. 언어와 문자로 본 계승
Ⅲ. 발해문화의 다양성과 계승
맺음말
〈Abstract〉
“발해문화의 고구려 계승”에 관한 토론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발해 부흥국가와 고려의 발해 계승의식
역사와경계
2006 .09
발해의 영역에서 본 고구려 계승성
고구려발해연구
2006 .03
북한의 발해유적과 성격
역사와경계
2008 .09
渤海建築에 關한 北韓의 硏究成果
고구려발해연구
2007 .03
考古學을 通해서 본 中國의 渤海文化 硏究
고구려발해연구
2006 .09
Several Questions in Studies of the History of Palhae
Korea Journal
1990 .06
발해국의 주민구성에 관한 연구
인문학논총
2008 .02
발해 유민사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
역사와 세계
2020 .06
韓國史料로 본 渤海國
고구려발해연구
2007 .03
발해 ‘東京’ 지역의 고구려 문화 요소
고구려발해연구
2006 .12
요대의 발해유민 연구 : 중화인민공화국 학자들의 논저에 대한 토론
고구려발해연구
2007 .12
발해ㆍ일본의 교류개시기에 대한 검토 : 『續日本紀』養老4年記事를 중심으로
고구려발해연구
2009 .11
금(金)건국과 발해유민 : 중화인민공화국 학자들의 주장에 대한 토론
고구려발해연구
2007 .12
발해 고고유적 출토 동물 유체의 현황과 분석
고구려발해연구
2019 .11
渤海遺民史 硏究
고구려발해연구
2006 .12
渤海国号初称 “靺鞨” 再考
고구려발해연구
2006 .12
발해 사찰유적의 건축형식 연구
고구려발해연구
2006 .03
발해의 멸망ㆍ유민사에 대한 연구 현황과 과제
역사와 세계
2006 .08
渤海와 日本의 交流 航路 變化에 관한 연구
역사교육
2013 .06
연해주 발해성곽의 구조와 성격
중앙고고연구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