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스탈린은 왜 한국전쟁을 '허락'했는가? : 새로운 시각
역사학보
2005 .12
The City and the City : by China Miéville, London: Pan-Macmillan, 2009, 373pp.
Localities
2012 .11
레비나스, 타자 윤리학, 페미니즘
영미문학페미니즘
2009 .01
A History of Rome down to the Reign of Constantine by M. Cary and H.H. Scullard, London, The Macmillan Press, 3rd edition, 1975, 694pp
역사학보
1978 .12
李墓東著 新羅骨品制社會와 花郎徒 서울, 韓國研究院. 1980. PP.433
역사학보
1981 .03
Korea: The Search for Sovereignty. By Geoff Simons. London: Macmillan Press Ltd. and New York: St. Martin's Press, Inc. First Edition 1995. Reprinted 1999. 313 pp., + appendices, notes, bibliogra-phy and index. $19.95 (paper)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01 .06
문화적 테스트로서 러시아 영화 : 스딸린 우상의 창조와 파괴를 중심으로
노어노문학
2005 .12
[BOOKS] New Book Provides Korean Background : Korea, The Third Republic, By Kyung Cho Chung. Macmillan
Korea Journal
1972 .12
漢文學을 통해 되돌아보는 三韓統一의 역사(Ⅰ)-高麗 시대까지의 漢詩에 나타난 三韓과三韓統一의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2019 .01
[서평] 이승영,『17세기 영국의 수평파 운동』(서울: 민연, 2001), 400pp.
역사와경계
2003 .06
J. R. Martin and P. R. R. White (2005). The Language of Evaluation: Appraisal in English. New York: Palgrave Macmillan. 278 pages
담화와인지
2016 .05
Getting God’s Ear : Women, Islam and Healing in Saudi Arabia and the Gulf
Muslim-Christian Encounter
2014 .06
Gender and the Political Opportunities of Democratization in South Korea : by Nicola Anne Jones. New York: Palgrave Macmillan, 2006. 320 pp., US$ 105.00, ISBN: 978-1-4039-7249-1 (hardcover)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15 .06
Characteristics of Korea Press
Korea Journal
1962 .05
Development of the Korean Press
Korea Journal
1968 .01
스탈린 외교를 바라보는 한 시각, 1927~1953
역사비평
2017 .11
吳金成 著, 《中國近世社會經濟史硏究 -明代 紳士層의 形成과 社會經濟的 役割-》(서울 : 一潮閣, 1986), pp.339(本文 pp.287, 英文要約 pp.24, 引用文獻書目 pp.19, 地圖 pp.4, 索引 pp.3)
역사학보
1987 .03
1949년 1월 국공(國共)평화회담중재에 대한 소련의 태도 및 세계안보전략
역사학보
2009 .06
Stalin and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史叢(사총)
2015 .01
러시아의 국가폭력과 과거사 청산 노력
신학과 선교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