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들어가며
어린이문학 용어를 계열화하자
동시와 동요는 어린이시다
동요의 재인식이 필요하다
동시와 어린이시를 구별할 것인가
동화와 소년소설은 어린이소설이다
어린이문학은 특별하지 않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작가가 생각하는 아동문학 장르 용어 : 『창비어린이』 가을호 특집 ‘아동문학 장르 용어 어떻게 쓸까’를 읽고
창비어린이
2010 .12
어린이문학을 위한 새로운 모색
창비어린이
2019 .12
반짝반짝 달콤한 어린이책
창비어린이
2018 .03
보이지 않는 어린이를 보고 싶다
창비어린이
2015 .09
[장르] 장르 뜨겁게 달궜다 차갑게 식히기
자음과모음
2017 .06
[장르] 장르문학 되감기(Re-wind)
자음과모음
2017 .09
방적 용어
한글
1938 .12
보에 대한 용어
한글
1939 .12
[토론] 어린이문학은 다문화 시대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07 .12
장르를 넘나드는 최근 아동청소년문학
창비어린이
2018 .03
착한 어린이만큼 재미없는 게 있을까 : 만화 속의 어린이
창비어린이
2009 .06
[역사용어 바로 쓰기] 민족문학, 국민문학, 민족주의문학
역사비평
2006 .02
‘어린이문학다움’에 대하여 : 2006년에 발표된 단편들
창비어린이
2007 .03
탈북 어린이와 한국 아동문학
창비어린이
2015 .09
어린이는 동시를 어떻게 읽을까
창비어린이
2012 .12
어린이문학 비평의 현단계 : 『창비어린이』 가을호 특집 작가론을 읽고
창비어린이
2006 .12
신세계의 어린이문학, 자기계발문학
창비어린이
2009 .06
어린이의 삶2
철학과 현실
1993 .03
어린이의 삶1
철학과 현실
1992 .12
바로 써야 할 교육용어
중국조선어문
2007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