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박옥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남승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저널정보
대한지질학회 지질학회지 지질학회지 제46권 제5호
발행연도
2010.10
수록면
439 - 452 (1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Avaatech XRF 코어 스캐너에 장착된 3-CCD (charge-coupled device) 라인 스캔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해 서부 해역에서 획득한 3점의 퇴적물 코어 (05GCRP-13, 14, 15)의 고해상도 이미지와 색지수(color parameter)를 얻었다. 각 퇴적물코어에서 촬영한 고해상도 이미지와 색지수 (CIE-L<sup>*</sup>a<sup>*</sup>b<sup>*</sup>) 값을 이용하여 정밀한 층서를 정립하였다. 특히 3점의 시추 퇴적물에 대한 보다 정확한 층서를 정립하기 위하여 코어 05GCRP-15 의 밝기와 AMS 14C 연대측정자료 그리고 협재된 5개 화산재 층을 이용하여 동해 남동해역의 오키(Oki) 해령에서 획득한 코어 MD01-2407과 정밀하게 대비하였다. 층서자료에 의하면 3점의 시추 퇴적물 코어는 MIS (marine isotope stage) 5.2인 약 94 ka 전 이후 퇴적되었다. 색지수 L<sup>*</sup>a<sup>*</sup>b<sup>*</sup> 값은 동해에서 획득한 퇴적물의 대비뿐만 아니라 퇴적물의 유기탄소함량이나 칼슘(Ca) 등 일부 원소의 함량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였다. 특히 후기 제 4기 동해의 퇴적층에 기록된 밝고 어두운 색이 교호하는 층은 빙하기-간빙기 중 밀레니엄 주기로 일어난 고해양 환경 변화를 잘 반영하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단주기성의 퇴적물 색변화는 NGRIP (North Greenland Ice Sheet Project)에 기록된 산소동위원소(δ<sup>18</sup>O)의 D-O (Dansgaard-Oeschger) 단주기 기후변동 기록과 매우 잘 대비되었다. 따라서 동해시추 코어 퇴적물에 기록된 고해상의 색지수는 향후 퇴적물 코어의 정확한 층서확립과 고해양 환경변화의 정밀복원을 위한 연구에 유용한 프록시로 활용될 수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요약
1. 서론
2. 연구 재료와 방법
3. 결과
4. 토의
5. 결론
사사
참고문헌

참고문헌 (6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3-450-000760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