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고민정 (부경대학교) 강현민 (부경대학교) 왕수균 (부경대학교) 이민희 (부경대학교)
저널정보
대한지질학회 지질학회지 지질학회지 제47권 제6호
발행연도
2011.12
수록면
635 - 645 (11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지하 800 m 이하 50 ℃ 와 100 bar 조건에서 이산화탄소를 심부 대수층에 저장하는 경우 초임계CO<SUB>2</SUB>-지하수-광물 반응에 의한 광물 풍화 정도를 규명하는 고압셀 실험을 실시하였다. CO<SUB>2</SUB>와 반응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Ca 성분은 적지만, 상대적으로 Mg, Fe 성분이 풍부한 감람석(olivine)과 녹니석(chlorite)을 사용하였다. 부산 해안가 지하 800 m에서 채수한 염수 100 ml와 두 광물 시료 슬랩을 고압셀에서 100 bar, 50 ℃ 상태로 초임계CO<SUB>2</SUB>와 반응시켰다. SPM분석을 이용하여 반응 전 광물 슬랩 표면을 영상화하였으며, 광물 슬랩 표면의 특정 면적(20 ㎛ × 20 ㎛)의 기준면에 대하여 면적 내 512개 점원(pixels)의 높이를 RMS(Root Mean Square)값으로 나타낸 표면거칠기값(SRV: Surface roughness value)을 구하였다. 고압셀 반응 30일 동안 10일 간격으로 슬랩 시료를 고압셀에서 꺼내어 실험 전 설정한 지점에 대하여 SPM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10일 간격으로 고압셀 내부로부터 2 ml의 지하수를 채취하여 용존 양이온 농도를 분석하였다. 반응 실험 후 SEM-EDS 분석을 실시하여 초임계CO<SUB>2</SUB>와 지하수에 의한 감람석과 녹니석의 풍화를 정량적으로 규명하였다. 초임계CO<SUB>2</SUB>가 용해된 지하수와 반응하여 감람석과 녹니석 표면의 평균 표면거칠기값(SRV)은 30일 동안 1.76 nm와 3.87 nm에서 16.13 nm와 13.51 nm로 각각 증가함으로써(9.2배와 3.5배 증가), 초임계CO<SUB>2</SUB>-지하수에 의해 상당한 광물 표면 풍화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감람석의 경우 30일 반응 후 지하수 내 용존 이온 중 Ca<SUP>2+</SUP>, Mg<SUP>2+</SUP>, Fe<SUP>2+</SUP>가 528.1, 13.0, 0.0 mg/L에서 각각 644.6, 65.8, 8.3 mg/L로 증가하였다. 녹니석은 반응 전 지하수 내에 존재하지 않는 Fe<SUP>2+</SUP>가 30일 반응 후 100.2 mg/L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Mg<SUP>2+</SUP>, Na<SUP>+</SUP>, K<SUP>+</SUP>가 각각 13.0, 621.6, 35.5 mg/L에서 15.3, 676.0, 38.6 mg/L로 약간 증가하였다. 두 광물 모두 반응 30일 후 고압셀 내에 침전물이 형성되었으며, SEM-EDS 분석 결과 감람석의 경우에는 Fe 성분이 풍부한 산화광물과 무정형의 규산염광물이 침전되었고, 녹니석의 경우에는 철산화광물이 침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반응 전 광물에 많이 포함되어 있던 Mg, Fe 성분이 초임계CO<SUB>2</SUB>의 용해에 의해 지하수의 pH가 4.5까지 낮아지면서 과포화된 후 철산화광물로 침전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구 결과로부터 감람석, 녹니석광물들은 CO<SUB>2</SUB> 지중저장 시 짧은 시간 내에 심한 풍화작용을 일으키며, 결국 공극률, 투수율과 같은 암석 물성 및 염수의 성분을 변화시킬 수 있음을 입증할 수 있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실험 방법 및 내용
3. 결과 및 토의
4.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28)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3-450-001252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