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재홍 (서강대학교) 김효용 (한성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애니메이션학회 애니메이션연구 애니메이션연구 제8권 제1호
발행연도
2012.3
수록면
112 - 128 (1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게임은 중독성, 폭력성, 선정성 등과 같은 역기능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역기능성 때문에 게임이 경제적으로 부가가치가 큰 문화산업임에도 불구하고 환영받지 못하고 있다. 또한 대중이 순기능적인 게임의 필요성을 느끼는 이유이기도 하다. 역기능적인 기능이 강화된 상용게임과 순기능적인 기능이 강화된 기능성게임 사이에 높게 쌓인 거대 장벽을 어떻게 낮출 것인가 하는 문제는 앞으로 게임산업이 풀어나가야 할 숙제다. 기능성게임의 스토리텔링을 위해서는 역기능적인 요소들을 약화시켜 순기능적인 게임으로 유도시키는 밸런싱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리고 게임의 세계관, 캐릭터, 사건, 매개체 요소들에서 순기능적인 스토리텔링이 강화되었을 때, 완성도 높은 게임이 탄생된다는 사실을 본고의 집필을 통해 언급해 보고자 한다.

목차

1. 서론
2. 순기능성 이해를 위한 기능성게임
3. 상용게임에 내재된 역기능과 순기능
4. 순기능과 역기능의 조화를 위한 스토리텔링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34)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