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문제의 제기
Ⅱ. 강조법의 개념
Ⅲ. 강조법의 실현 방법
Ⅳ. 결론-강조법 기술의 언어학적 의의
참고문헌
SUMMARY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강조법의 문법적 위상과 변별 기준
한글
1989 .12
Emphatic Expression in English
새한영어영문학
1977 .09
현대국어의 강조법 연구 - [종결어미]류 결합의 경우 -
우리말글
1983 .06
"임성규 저(著), 현대국어의 강조법 연구
국어국문학
1989 .12
Emphatics in Spoken Interlanguage of Chinese Learners of L2 Korean
응용언어학
2014 .06
현대국어 강조부사 범주의 설정과 기능적 분석
한글
2007 .03
淺論漢語的强調表達形式
중어중문학
2008 .12
프랑스어 명사구 강조의 분포적 특성과 그 제약에 대한 연구
언어과학
2010 .01
제주 한국어의 강조 중첩어에 나타난 자음 음변화 양상 연구
언어학 연구
2008 .11
Vowel emphatic reduplication in Jeju Korean
음성음운형태론연구
2009 .12
강조의 긍정 극어에 대한 통사적 분석
스페인어문학
2013 .01
The phonetics and phonology of emphatic reduplication : A case study of Jeju Korean
음성음운형태론연구
2013 .04
Underlying Bases for Reduplicated and Sound Symbolic Words in Korean : The so-called emphatic Suffixation revisited
언어
2006 .06
기능주의 문법에 입각한 英語 强調表現에 관한 硏究
새한영어영문학
1986 .12
옛말의 힘줌 뒷가지
언어학
2004 .12
신동엽 시에서 지시사의 한정 지시와 강조 기능
국어문학
2009 .08
Linguistic Sexism in the Translation of “Nashim”
통번역교육연구
2016 .01
강세접두사의 변화 양상 -후기 근대국어 문헌을 중심으로-
동양학
2007 .01
공정사회를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
철학과 현실
2011 .03
한국어학습을 위한 프레지올러지 유형에 대한 연구(1)
이중언어학
2004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