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들어가기
2. 이중주어구문의 논의 유형
3. 이중주어구문의 신해석: 단일 주어/목적어 가설을 중심으로
4. 마무리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소위 이중 주어 구문에 관한 쟁점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18 .06
주어와 주제 구문의 유형에 대한 고찰
한국어학
1996 .06
주어의 구문적특성과 접속토의 사용
중국조선어문
1999 .01
주어의 구성소
국어교육연구
1980 .12
국어 이중주어 구문의 새로운 해석
언어학
2005 .04
Prototypicality and Markedness in the English Passive
언어과학
2020 .01
‘-기로 하다’구문과 ‘-기로서니’에 대하여
국어문학
1989 .01
정태적 상황과 겹주어 구문
한글
1980 .09
한국어에는 주어가 없는가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13 .12
일한 ‘이중 주어 구문’에 대한 대조 연구ー일본어의 ‘주어유무 논쟁’과 한국어의‘서술절구 논쟁’을 중심으로ー
日本學硏究
2015 .01
주어와 주제어 문제
중국조선어문
1988 .03
계기의 《고》의 주어문제
중국조선어문
2000 .05
견디다 구문의 기술을 위하여
한글
1990 .06
`이다` 구문과 재구조화
한글
1996 .06
이중 주어 구문의 정보구조
한국어학
2018 .11
주어의 인지적 의미와 기능에 대하여 : 논항 이동 구문을 중심으로
언어학
1996 .12
1인칭 주어제약 구문의 문법성과 통사적 표상
어문학
2002 .06
국어에서 주어가 조사 없이 나타나는 환경에 대하여
한글
1991 .06
정도구문의 비교특성
언어과학연구
1995 .12
국어의 목적어-주어 인상에 대하여
한국어학
2005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