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전에서 행하신 예수님의 행동은 예수님의 생애에서 독특한 형태인 이유로 최근에 많은 학자들 간에 토론이 다시 일어났지만,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빼어난 학설 없이 대부분의 주장들이 크게 세 가지로 나눠진다. 즉 선지자적 상징적 행위 개혁가적 청결 행위 그리고 종말적 메시아적인 행위라고 한다. 이러한 주장들 중에서 성전 사건의 의미와 예수님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스라엘 역사에 흐르는 성전에 관한 전승들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예수님도 구약 성경과 유대 문헌에 흘러내려오는 성전에 대한 전승들을 잘 알고 계셨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먼저 이스라엘에 있어서 성전의 기원과 기능이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본 후 그 성전에 대한 전승들이 구약 성경 시대, 즉, 예루살렘 성전 이전 시대와 예루살렘 성전 봉헌 때 그리고 선지자 시대에 어떤 모습으로 전승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예루살렘 성전 이전 시대에서는 출애굽기와 신명기에 나오는 성막과 사무엘상 1:1-4:22, 시편 78:59-72, 예레미야 7:12-14, 26:6-9에 나오는 실로의 성전을 살펴보았고, 열왕기상 8장의 성전 봉헌식 속의 성전에 관해서 조사했다 선지자 시대에는 이사야, 예레미야, 에스겔, 스가랴서에서 예수님의 성전 사건에 관련된 성전 전승들을 연구하고, 그 성전의 전승들이 유대 문헌들에는 어떤 모습으로 용해되어 들어갔는지를 살펴본 후에, 예수님 시대의 성전의 모습과 비교 평가해서 그 의미를 함축적으로 기술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마가복음을 주요 본문으로 문학적인 기법들로 예수님의 성전 사건을 연구하였다. 본문의 구조 분석, 문맥 분석, 특히 해석학적 분석으로 본문에서 가장 가능성 있는 의미를 재조명하였다. 또 예수님의 말씀과 행동들은 전혀 다른 새로운 성전을 일으키려는 데 있다는 결론을 구약과 유대문헌에서의 성전 전승들과 비교하여 도출하였다.
Even though Jesus’ action in the Temple was one of the outstanding religious incidents in Jesus’ life and scholarly discussions have been pursued vigorously in recent decades, scholarly consensus has not been reached for the lack of concrete evidences. So We may group three major genre identifications: prophetic symbolic act, reformer’s cleansing act and eschatological messianic act.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Temple incident and the intention of Jesus, we have searched the Temple traditions in the history of ancient Israel because Jesus was probably influenced strongly by Israelite laws and traditions in the Old Testament and early Jewish literature. First, the origins and the functions of the Temple in Israel have been investigated. After this, the Temple traditions have been examined in the Old Testament according to the epochs of the Temple: proto-temple era, the time of the dedication of the Temple, the prophets’ time. For the proto-temple era the tabernacle in Exodus and Deuteronomy has been explored and the sanctuary in Shiloh primarily in 1 Sam 1:1-4:22, Ps 78:59-72 and Jer 7:12-14, 26:6-9 have been treated, and for the dedication of the Temple 1 Kings 8 has been studied. Then, for the prophets’ time Isaiah, Jeremiah, Ezekiel and Zechariah are selected because of their relevance to the Temple incident. Among the abundant Temple traditions in Early Jewish literature, the selection has been made according to their relevance to this study and the date of composition before Jesus’ time, and then comparative assessment has been made on those Temple traditions. Then, their main implies are written in brief. Afterwards, the Temple incident has been studied on the basis of the text of Mark primarily, but with some consideration of the other gospels. Through the structural analysis, the contextual analysis, and hermeneutical analysis the text has been studied in detail, and then Jesus’ actions and sayings in the Temple have been assessed by the Temple traditions found through the above invest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