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우승학 (경북대) 추승연 (경북대)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第30卷 第6號
발행연도
2014.6
수록면
3 - 10 (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degree of "auditory impression" through music was subject to relative measurement based on personal tastes. However, the advance of digital technology has enabled to quantify and typify the sizes of auditory impression. Various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parametric are applied for transformation into other sensational elements,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elemental technologies to generate forms in association with architectural theories. This study is aimed to suggest an architectural methodology to materialize auditory impression of music as spatial impression in architecture. At the same time, the relations with BIM model was described for effective Collaboration among AEC industry subjects. This is to prepare and review reasonable design alternatives by minimizing time and efforts required when an architect designs through digital tools. It is also expected that architectural data based on the design methodology suggested in this paper will be a basis for data exchange between participants in the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목차

Abstract
1. 서론
2. CAAD의 발전과 시각적 프로그래밍 언어기반 디자인의 도입
3. 음악의 시각적 프로그래밍 언어기반 디지털 형태생성 프로세스
4. 음악의 디지털 건축 디자인 적용을 위한 시각적 프로그래밍 언어기반 디지털 형태생성과 BIM 활용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5-500-001710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