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들어가며
Ⅱ. 국가안전법제에서의 우리나라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역할
Ⅲ. 국가안전법제에서의 미국의 기초지방정부의 역할
Ⅳ. 맺으며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지방자치단체의 재난안전 관리에 대한 주민 인식태도 연구 - 충청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경호경비학회지
2019 .01
재난관리 주체로서의 특별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법적 과제
공법학연구
2022 .05
재난 및 안전관리에 관한 지방정부의 권한 강화에 관한 연구
한국테러학회보
2023 .03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상 재난관리체계에 관한 법정책적 개선방안
법과 정책연구
2015 .01
중앙정부의 복구재원 수준이 지방정부의 재난안전예산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가?: 정부 간 관계 관점에서
지방정부연구
2021 .02
세월호 사례를 통해 본 한국 위기관리행정의 문제점과 정책과제
한국치안행정논집
2016 .05
미국에서 국토안보부의 출범과 위기대응법제의 변화
공법학연구
2015 .02
초광역 지방정부의 기관 간 견제와 균형에 관한 공법적 과제 -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을 통한 특별지방자치단체의 구체화를 중심으로 -
지방자치법연구
2021 .09
위기관리학과 재난관리학에서 지방정부의 역할
Crisisonomy
2015 .01
지방정부 중심의 재난대응 체계 개선 방안 연구- 구미시(Gumi-si) 국가오염사고(National Contingency) 사례를 중심으로 -
Crisisonomy
2015 .01
지방자치단체의 자치조직권 보장을 위한 법정책적 방안에 관한 연구
법과 정책연구
2022 .12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정책 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 지역안전지수 분야를 중심으로 -
Crisisonomy
2023 .02
자연재난 대응 및 복구에 관한 법제도 연구 - 미국 자연재난 대응·복구 제도를 고찰하며 -
홍익법학
2022 .12
재난안전 대응체계에 관한 네트워크 분석: 감염병 재난대응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022 .04
한국・독일 비교를 통한 인구규모에 따른 자치권배분논의와 지방의회운영・지원방안 개선에 관한 연구
지방자치법연구
2019 .01
지방자치단체의 경험적 조직학습이위기관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Crisisonomy
2015 .01
기초지방자치단체 간 협력에 관한 연구*
지방자치법연구
2022 .12
지방자치단체 연계・협력 강화를 위한 지방자치법의 개정과 공법적 평가 - 정부의 특별지방자치단체 도입안을 중심으로 -
지방자치법연구
2019 .01
통일한국을 대비한 남북한지방자치법제의 비교와 통합적 개편방안
법학연구
2015 .02
법적⋅제도적 시스템이 재난안전관리인식에 미치는 영향
Crisisonomy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