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은 수집, 보존, 연구, 전시 등으로 대표되는 기본기능을 수행하여 왔다. 근래에 들어서는 교육, 체험, 서비스 등의 개념을 통해 지역민을 포함한 외부관광객들로 하여금 박물관을 보유하고 있는 지역의 이미지 제고와 홍보를 유도하는 것이 박물관의 주요 기능으로 변화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지역 박물관은 유지관리 소홀 및 운영미숙으로 인한 인지도 미비, 재방문 결여 등을 초래하고 있으며, 그 결과 연 방문인원이 감소하거나 답보상태에 머무르고 있어 지역의 브랜드 이미지 향상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지역 브랜드로서의 가치 향상을 위하여 지역 박물관의 기능적 활성화 전략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지역 박물관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우선 전국 각 지역에 산재해 있는 박물관들 중 지역의 특성을 대표하는 요소를 주제로 하는 지역 박물관들을 조사하여, 전시 주제에 따라 역사문화형, 지역테마형, 환경생태형으로 분류하고, 각 박물관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원인들을 추출하였다. 지역 박물관을 활성화하기 위해 필요한 요인들을 전시주제, 교육·체험 프로그램, 전시기법, 대외홍보, 디자인 상품개발, 정부지원 및 연계활동으로 구분·정리하고, 이 6가지 요인들을 지역 박물관 브랜딩 전략으로 제시하였고 이를 평가요소로 삼아 각 유형별 박물관을 평가하여 활성화에 미치는 중요도를 산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산정된 평가 요소들을 기반으로 각 유형별 지역 박물관이 지향해야할 박물관 브랜딩 전략을 제시하였다. 첫째, 역사문화형 박물관은 흥미로운 콘텐츠 개발 및 보강이 이루어져야하고, 신기술·신소재를 활용한 전시기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지역테마형 박물관은 지역 정체성 확립, 관련디자인 상품개발, 전시소재 차별화, 정부지원 사업 참여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환경생태형 박물관은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문객과의 다양한 의사전달 통로 마련, 촉각을 통한 체험학습, 미래 생활환경의 가상체험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지역 박물관의 이미지 조사를 통한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지역 박물관 활성화를 위한 브랜딩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이론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지역박물관의 브랜드 이미지를 고취시키는 전략으로서 제언하기 위함이다.
Museums have played the basic roles like collection, preservation, research, exhibition, etc. since modern museums have appeared. While the rate of increase of museums is annually high, some museums have problems like poor maintenance and inadequate operation so that the annual number of visitors in many museums is decreased or at a standstil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strategies of branding to facilitate local museums which will maximize the local branding. In order to draw the method to facilitate local museums. I firstly researched local museums which represent the local characteristics among many museums in each locality and then sorted them out into three types of museums; history-culture type, local-theme type and environment-ecology type according to the types of exhibitions. Finally, I drew the conclusion as to why each museum failed to increase the number of visitors. I also presented evaluation factors to facilitate the museums as the method of solution. These are theme of exhibition, education-experience program, exhibition technique, public relation, design project development and government supporting and related activities. I calculated importance factor by evaluating each type of museum according to the above six factors. And then I suggested the strategies of branding each type of museum on a basis of the calculated importance factor as follows; First, I suggested that development and reinforcement of interesting contents should be performed and exhibition technique utilizing new technology and new material should be developed for activating history- culture typed museum. Second, I suggested that the establishment of local identity, the related design development, differentiation of exhibition material, government supporting, etc. should be realized for activating local-theme typed museum. Third, I suggested that development of customized education program, arrangement of communication with visitors, experience study by sense of touch, virtual experience of future life environment, etc. should be realized for activating environment-ecology typed museum. Furthermore, recognizing that the final purpose of the local museum is to make visitors inspired by historical and cultural spirit and to preserve the local original and cultural heritage and to realize importance of natural environment and ecology, we should continue to perform more detailed and specialized analysis and research about the local museum preser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