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 초록
Ⅰ. 머리말
Ⅱ. 입궁과 지위변화
Ⅲ. 壬午 大處分 요청
Ⅳ. 暎嬪 추숭과 위상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선시대의 궁궐 침전 용어에 대한 辨證
백산학보
2018 .01
죽음 앞에서 삶을 기록하다. 『한중록』과 혜경궁 홍씨(惠慶宮 洪氏)
이화어문논집
2020 .01
무사의 자살과 왕생- 헤이케모노가타리(平家物語)에서 일탈하는 텍스트 슈라노(修羅能) –
일본학보
2019 .01
신라 여성관인 제도의 성립과 운영
사림
2022 .04
인조대 후반 昌德宮 중건과 후계구도 변경— 世孫(顯宗) 책봉과 法宮의 위상 정립 —
사림
2021 .10
다연(茶宴)인가, 주연(酒宴)인가 : 국립고궁박물원(國立故宮博物院) 소장 〈궁락도(宮樂圖)〉의 신해석(新解釋)
아시아 도자문화 연구
2022 .12
히카루겐지의 영화 구축을 위한 방법 고찰
일본어문학
2018 .01
唐 九成宮의 김인문 친필 書跡
신라사학보
2015 .08
北宋 道敎와 國家儀禮 : 景靈宮 제사를 중심으로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6 .04
아베 타이잔(阿部泰山)의 12운성(運星) 이론 고찰
인문학연구
2021 .08
송대 의방(醫方) 지식의 전승과 사대부의 역할 : 화독배농내보산(化毒排膿內補散)을 중심으로
의사학
2018 .04
한일관계사에서 본 경복궁(日韓關係史から見た景福宮)
[TCHCCOS] 서울과 역사
2019 .10
中國史書에 나타난 高句麗 初期 王系와 宮의 裔孫化
고구려발해연구
2020 .03
芹谷 李觀徵 簡札帖의 書誌文獻學的 考察과 意義 -『庭下音徽』와 『先牘』을 중심으로-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2019 .01
연세대학교 소장 『晩悟漫筆』의 작자에 대한 고찰
한국한문학연구
2021 .01
Vietnam(大越) 황자 ‘李龍祥 Lý Long Tường’에 관한 연구(3) - 화산 이씨의 혈맥과 동향에 대한 추적을 중심으로 -
인문연구
2018 .03
Vietnam(大越) 황자 ‘李龍祥Lyˊ Long Tường’에 관한 연구(6)-관련 자료 전반의 一瞥, 사료적 가치 검토와 비정을 중심으로-
동아인문학
2021 .03
<浦項中城里新羅碑>의 宮과 本波
한국민족문화
2017 .02
‘蕭何’에 대한 正祖의 인식 고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2022 .09
부여 쌍북리 56번지 목간의 제작시기와 유적의 성격
목간과문자
2023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