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에서 근거리 주시거리에 따라 시력과 굴절이상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고, 스마트폰 사용 후 시력이나 굴절이상이 회복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안질환이 없고 교정시력이 0.8이상이고, 최대조절력과 조절용이성이 정상인 20명(20.6±0.9세)이 본 연구에 참여 하였다. 피 실험자는 Group 1(15 cm 주시거리)인 10명과 Group 2(40cm 주시거리) 10명으로 나누어서 원용 교정안경을 장용하고 30분 동안 동영상을 시청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동영상 시청전과 후의 원거리 교정시력과 타각적 구면 굴절력 값을 비교하였다. 타각적 측정은 auto-chart project(CP-1000, Dongyang, Korea), phoropter(VT-20, Dongyang, Korea), auto refractor-ketatometer(MRK-3100, Huvitz, Korea)를 이용하였다. 그런 다음, 원용 교정안경을 착용하고 원방시를 하게 한 후 각각 5분 후, 10분 후, 그리고 15분 후에 원거리 타각적 구면 굴절력 값을 측정하였다. 결과: 스마트폰을 15cm거리에서 30분 동안 사용한 Group 1(15cm 주시거리)은 스마트폰 사용 전과 사용 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원거리 교정시력 저하(p=0.030)와 근시의 증가(p=0.001)가 관찰 되었다. 이러한 근시의 증가는 스마트폰 사용 후 5분 후 이후 검사에는 더 이상 통계적으로 유의 하지 않았다(p≥0.464, paired-samples t test). 한편 30분 동안 스마트폰을 40cm 거리에서 사용한 Group 2(40cm 주시거리)은 스마트폰 사용 전과 사용 후에서 시력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p=0.163), 굴절력의 변화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77, paired-samples t test). 결론: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굴절이상과 원거리 교정시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려면 사용 거리를 40cm를 유지 할 것을 권장 하며 만약 스마트폰을 권장 사용 거리 40cm 보다 가까이에서 사용 할 경우 굴절이상과 원거리 교정시력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스마트폰을 최소한 30분 사용 후 5분간 휴식을 가질 것을 권장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search any effect on aided distance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error changes by using smartphone at near for long term. Methods: 20(20.6±0.9 years) young adults subjects with no ocular diseases, over 0.8 of aided distance visual acuity, normal amplitude of accommodation and normal accommodative facility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 Group 1(15 cm fixation distance) included 10 subjects and Group 2 (40 cm fixation distance) included 10 subjects. Aided distance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error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using smartphone for 30 minutes by auto-chart project (CP-1000, Dongyang, Korea), Phoropter (VT-20, Dongyang, Korea), auto refractor-keratometer(MRK-3100, Huvitz, Korea). After then, the subjects looked at distance with wearing spectacles. Refractive error was measured at 5 minutes, 10 minutes, and 15 minutes later, respectively. Results: After using smartphone at 15 cm for 30 minute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of aided distance visual acuity (p=0.030) and increasing myopia (p=0.001). The increased myopia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5 minutes rest (p≥0.464).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aided distance visual acuity (p=0.163) and refractive error (p=0.077) after using smartphone at 40 cm for 30 minutes, Conclusions: It is recommend to keep 40 cm off the smartphone from eyes to avoid any aided distance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error changes. If smartphone is used closer than 40 cm, a rest for 5 minutes is also recommend after every 30 minutes use with smartphone to avoid any aided distance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error chan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