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65년 체제와 『관부연락선』이 놓인 자리
2. 중층적 서술을 통한 학병 기억의 재현
3. 학병 세대의 역사 경험과 분단 인식
4. 마무리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중립불가능의 시대와 회색의 좌표―이병주의 "관부연락선", "지리산"에 나타난 지식의 표상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2019 .01
‘우애(友愛)’의 서사와 기억의 정치학 : 이병주 소설 『관부연락선』 다시 읽기
서강인문논총
2018 .08
학병의 글쓰기에 나타난 내면의식 연구 : 한운사, 이가형, 이병주의 소설을 중심으로
어문론집
2018 .09
학병의 신체와 전쟁 기억 - 『1․20 학병사기』를 중심으로 -
한민족문화연구
2016 .02
학병세대와 군인정치의 시대 그리고 법적 정의 -이병주 문학에 나타난 원한과 법의 문제-
철학∙사상∙문화
2021 .01
『관부연락선』의 서사적 형식과 역사적 상상력
한국현대문학연구
2021 .12
학병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정체성 연구 196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
2017 .01
‘연안’으로 간 학병들 ; 학병세대와 코뮤니즘 : 신상초, 엄영식의 두 『탈출』에 대한 고찰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16 .08
일제 말기 한인 학병들의 중국지역 일본군 부대 탈출과 항일 투쟁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16 .11
학병의 기억과 서사-이병주의 소설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2020 .04
『삼국사기』 신라본기 유리이사금 9년 六部 기사의 역사적 배경 -지명 語素의 맥락을 중심으로-
신라사학보
2022 .08
식민지를 가로지르는 1960년대 글쓰기의 한 양식 : 식민지 경험과 식민 이후의 『관부연락선』
한국현대문학연구
2015 .08
裵庭裕의 『東觀奏記』에 대한 사료적 검토와 譯註
중국사연구
2021 .01
신라 6부의 시기적 변천과 기본 성격 : 연구사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
2018 .03
6세기 신라비를 통한 6부의 재검토
역사와현실
2018 .12
上古汉语 “舟船” 词语研究
언어와 정보사회
2018 .01
The Domestic Management and Media Coverage of Fallen Soldiers during the Korean War, 1950-1953
Korea Journal
2020 .06
한국전쟁 초기 조선인민군의 호남지역 점령과정과 여수순천학도병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21 .01
3·1운동 100주년의 역사영화와 여성 ―서대문형무소 여옥사 8호실과 〈항거: 유관순 이야기〉
역사비평
2020 .02
宋代『紹興十八年同年小錄』에 나오는 本貫의 의미 - 比較史의 觀點에서 한국의 本貫制度를 바라보다 -
사림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