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Abstract
1. 머리말
2. 선행연구
3. 음소결합제약에 의한 중국어의 음절 공백 유형
4. 중국어 음소결합제약을 통해 예측되는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음절 오류
5. 결론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중국어와 일본어 모어 화자의 한국어 음절 종성 산출 차이 연구
우리어문연구
2016 .01
What’s Going on in the Syllable Structure?
미래영어영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8 .06
음절 빈도 효과의 첫 단계, 한글 음절 처리기가 존재하는가?
언어과학연구
2021 .09
표준중국어 음절유형에 대한 유형론적 고찰
중어중문학
2017 .06
유아의 음절 처리 과정에 대한 지배음운론적 접근
언어와언어학
2017 .01
한・미얀마어의 음절 구조와 제약에 대한 연구
한민족문화연구
2019 .01
시각 단어 재인시 나타나는 음절 빈도효과의 원인 규명: 사건관련 뇌전위 연구
언어과학
2015 .01
시각 단어 재인 시 음절과 형태소의 영향: 단일어와 합성어 비교
언어과학
2020 .01
언어별 음절 연구와 국어 음절의 특징
언어와 정보사회
2021 .11
‘부사어-서술어’ 수식 구성의 사용 양상에 대한 연구 - 근대계몽기 국문체-국한문체 병렬말뭉치에서의 ‘2음절 한자어+하다’ 구성을 중심으로 -
언어사실과 관점
2021 .01
The Graphic Syllable Writing System in Hunminjeongeum
언어학 연구
2015 .04
음절 연쇄에서 나타나는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종성 발음 유형
언어사실과 관점
2019 .01
韓國學生漢語塞輔音習得聲學分析
중국어문학논집
2021 .06
한국어 비음화의 오류 유형과 원인 분석 - 중국인 학습자와 일본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
언어사실과 관점
2018 .01
The Hanzi Writing System Adopted in both Old Korean and Old Japanese
언어학 연구
2017 .01
세종 말뭉치에 나타난 한국어 음절의 빈도와 분포
언어과학연구
2020 .03
현대한국어 한자음과 현대중국음과의대응관계 연구
어문논집
2018 .01
An Analysis on the Hierarchy between Heavy Syllables in North Kyungsang English Loanwords for the High Tone Assignment
영어영문학연구
2021 .12
한국어 어말 종성 발음의 유형적 특성
한국학논집
2020 .03
[h] 초성을 가진 현대한국어 한자음 음절과 현대중국어 음절의 대응관계 연구
우리말연구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