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벼리〉
1. 들어가는 말
2. ‘-었-’과 ‘-었었-’의 차이
3. 내재적 의미와 화용론적 함축
4. 단절과거와 관련된 의미들
5. 유형론적 고찰
6. 한국어 주절의 ‘-었었-’과 관형절의 ‘-었더-’
7. 단절과거 및 관련 의미들 사이의 관계
8. 맺는 말
〈참고 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경험상 ‘過’와 ‘-은 적이 있-’, ‘-었었-’ 비교 연구
중국어문논총
2019 .01
The Perfect Meaning of Korean Revisited
언어과학
2015 .01
우리가 덜 읽어 냈던 과거가,
문학들
2021 .05
숙달도와 거주 경험에 따른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함축 이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019 .01
한국어 학습자의 함축 해석 능력에 대한 연구 - 한국어 모어 화자와의 비교․대조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2016 .01
복문 과거시제 영한번역 고찰
언어학 연구
2020 .01
함축을 기반으로 한 중국어 시트콤 담화 분석Ⅱ - 함축의 자질 및 참가자의 연령을 중심으로 -
한중언어문화연구
2017 .01
과거 사태 지시 표현 유무에 따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과거시제 사용
이중언어학
2021 .09
1992년, 관습의 왕 외 2편
황해문화
2016 .03
Inference/Implicature and Their Cognitive Bases
철학∙사상∙문화
2023 .06
On the Mechanism of Generating Contrastive Implicature of CT in Korean
한국어학
2019 .11
从三个方面看意义的规约化
한중인문학연구
2020 .01
한국어 시제형태 ‘-었-’에 대한 소고 : 소설 「엄마를 부탁해」와 영역본 비교에서
언어과학연구
2015 .06
과거로 돌아가는 터널 속에서
수필미학
2021 .03
사회와 단절된 병은 없다
인물과사상
2017 .12
Pragmatic Comprehension of Conversational Implicature in L2 English: Effect of Instruction
영어교과교육
2020 .01
L2 Learners’ Comprehension of Conversational Implicatures
영어교과교육
2019 .01
`만`과 `도`의 이차 의미 : 전제인가 고정함축인가
언어학 연구
2016 .10
한일 관계의 과거와 미래에 대한 전망
동북아역사포커스
2023 .06
엘리엇의 네 사중주 고찰: “경험”과 “의미” 그리고 “과거”와 “현재”의 관계 보기
T. S. 엘리엇연구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