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기도 주차장공유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로 수행하였다. 주차장공유를 정의하고 이러한 서비스가 주차문제를 해소하는데 얼마나 필요하고 효과를 얻을 수 있을지 경기도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주차장공유란, 한정된 주차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개인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확보된 주차면이 쓰지 않는 시간동안 타인이 주차할 수 있도록 약속과 규칙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방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경기도 주차장 확보율은 104.34%이며 주차장 확보율이 100%가 안 되는 시⋅군도 16지역이나 된다. 경기도는 노상⋅노외주차장이 3.1%이고 건축물 부설주차장이 96.9%이다. 경기도 노상주차장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곳이 전체의 55.1%이다. 노상⋅노외주차장 이용요금은 1급지를 기준으로 평균 1,456원이며, 시간당 2,000원 이상인 지역은 31개 시⋅군에서 3개 지역(수원시, 부천시, 과천시)이다. 이는 서울 노상주차장 이용요금 6,000원에 비해 1/3 수준이다. 경기도는 16개 시⋅군이 거주자 우선주차제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경기도 주차장을 이용할 때 대체적으로 무료이거나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다. 주차장공유에 대해 경기도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는데, 웹서베이 형태로 유효샘플수 906개를 얻었으며, 승용차이용행태, 주차장이용행태, 교통시설 공유서비스에 대한 인식, 주차정책과 주차장 공유에 대한 인식을 질문하였다. 응답자 906명 중 우리나라의 주차문제가 심각하다고 응답한 사람들은 전체의 93.8%이며, 2.5%만이 만족하거나 매우 만족하다고 응답하여 경기도민이 체감하는 주차에 대한 서비스 만족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경기도민 52.3%가 주차정책 방향으로 주차장을 확보하여 공급측면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응답하였고 27.4%가 주차장이 어디에 위치해 있으며 언제 이용할 수 있는지, 이용요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주차장 공유 활성화를 위해서는 주차장을 공유하고 싶은 사람과 연계서비스를 제공해야한다고 32.0%가 응답하고 공유주차장 공간을 확보해야한다고 28.1%가 응답하였다. 카쉐어링, 카풀, 바이크쉐어링과 같이 이미 일부 교통부문의 공유서비스가 도입되었는데 이보다도 주차공유는 더 필요하고 시급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보아 주차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정책이 절실한 것으로 보인다. 설문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주차비용 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분석과 주차장공유 도입 시급성을 판단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주차비용 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이유는 주차장공유를 하기 위해서는 주차장을 이용하는 요금의 기대비용이 어떤 패턴을 나타내는지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주차비용 결정요인 분석은 다중 회귀분석방법을 적용하였는데, 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 이유로 경기도에서는 무료주차장이 많고 주차이용요금에 대해 이용자가 기대비용이 매우 낮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반면, 주차장공유 도입 시급성에 따른 요인분석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는데, 연령은 높을수록 그리고 직업이 판매직, 서비스직일수록 주차장공유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형태에서는 월세로 거주하는 가구일수록 시급하다고 나타났으며, 자가용 월 이용횟수가 높을수록, 통행목적이 업무/쇼핑/여가/기타 통행일수록, 교통수단을 선택하는데 목적지 주차환경에 대해 민감할수록 주차장 공유가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경기도에서 주차장공유를 도입하면 일부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우선대상지역으로 주차장확보율이 높고 주차회전율이 높은 근린생활지구 주변을 들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시⋅군에서 관리하는 노상, 노외주차장을 유료로 전환하고 일관되고 현실적인 이용요금을 설정하며, 불법 주정⋅차를 단속함으로써 주차장을 이용하는 것은 비용을 반드시 지불해야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경기도는 교통위원회에서 각 시⋅군이 수행한 주차장수급실태조사와 주차환경개선지구를 심의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여 주차장 현황에 대한 부분이라도 통합 관리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the basic research for introducing sharing parking system in Gyeonggi-do. We have defined what a sharing parking lot is, and had interviews with the residents in Gyeonggi-do. On the interview, we focused on two things: finding out how effective it will be when the sharing parking lot system is introduced to alleviate the parking problems, and how many will it be needed. Sharing parking lot is a system that can utilize the limited parking space more usefully. When the individual’s parking space is empty, others are available to park with certain rules and commitments. Based on the interviews, we analyzed the determinant factors of parking cost and the causes for the urgency of adopting the sharing parking lot system. The reason for investigating the determinant factor of parking cost was because in order to implement the system, it is crucial to know the pattern of people’s expectation cost on using parking places. However, though we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investigation, the model was meaningless. Having many parking places in Gyeonggi-do and the users having very low expectation for the fees had affected the outcome. In contrast,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urgency of adopting the system was meaningful. It turned out that it is more urgent on implementing when people are more aged, in sales position, or work in service industries. In residential types, it was pressing for the households with monthly rent. Also, it was shown that their institution of the system is essential for those who use their cars many times, whose purpose for driving is for business/ shopping/ leisure/ etc, and whom being sensitive in destination’s parking environment when choosing means of transportation. As a result, it seems like that it will be effective in Gyeonggi-do partially when the sharing parking lot system is implemented. However, then there must be the policies of changing off street parking area to fee parking lot, setting the consistent and realistic amount of fee, and exercising strict control on fining illegal parking so that people can be aware that using parking lot is pay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