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태희 (계명대학교) 남현정 (서강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서비스경영학회 서비스경영학회지 서비스경영학회지 제17권 제2호
발행연도
2016.6
수록면
25 - 44 (2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divide ports in South Korea into three regions and organize the present conditions to analyze, compare each other in specific criteria. Ports for cruise in South Korea are divided into three regions; Pan Yellow Sea, Pan South Sea, South East Sea based on the 3rd fundamental plans for port(2011∼2020) announced by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Pan Yellow Sea includes port of Incheon, port of Pyongtaek·Dangjin, port of Gunsan etc. Pan South Sea includes port of Gyangyang, Mokpo, Wando, Busan, Jeju, Ulsan, Pohang etc. Pan East Sea includes port of Donghae·Mukho, Sokcho etc.
As the results of comparison among cruise regions, we have found out the competitiv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for each port. Although there are exclusive ports for cruise such as Busan, Jeju, Incheon in South Korea, it is not enough to become a representative port for cruise. This is because the history of cruise industry is short and limited resources have not been fully efficiently used due to the political reasons. Thus, we need to develop a star port for cruise and to advertise extensively in short-term. In long-term small to medium sized ports can benchmark a successful case of a leading port for cruis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크루즈 서비스산업의 선행연구
Ⅲ. 크루즈 서비스산업의 현황
Ⅳ. 환황해, 환남해, 환동해 비교분석
Ⅴ. 문제점과 발전방향
Ⅵ.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324-000842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