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I. 머리말
II. 연구 현황 검토 및 문제 제기
III. 始祖王에 대한 인식
IV. 고구려 초기 王系의 성립 시점
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Next of “King”
Localities
2016 .11
조선의 冕服: 정치와 외교의 修辭
역사민속학
2022 .06
高句麗王號 ‘太祖王’의 정립 과정과 의미
한국사연구
2017 .09
백제 초기 왕계에 대한 이해 - 고이왕과 근초고왕을 중심으로 -
백제학보
2022 .08
1898년 독립협회의 정치기획과 ‘충군애국(忠君愛國)’
역사와현실
2018 .03
사무엘상 8장 11-17절의 ‘왕의 권리’ : 왕의 정당한 권리를 이야기하는 글
구약논단
2017 .12
세종실록을 통해 본왕세자(문종) 교육의 특징
역사교육논집
2019 .01
오묘제를 통해 본 신라 김씨 왕실의 시조 인식 변화
신라사학보
2021 .08
3세기 이전 고구려와 동부여의 관계에 대한 재검토
동북아역사논총
2023 .06
일성록 전최 계본(殿最啓本) 번역 방법론의 모색
민족문화
2022 .11
최치원 찬술 신라 국왕 表文의 작성 시기와 배경
신라사학보
2022 .12
17세기 정의현감 김성구金聲久의 제주도 인식과 업무 수행 — 『팔오헌집八吾軒集』을 중심으로
국학연구
2023 .03
고구려 태조대왕과 신대왕 王系에 대한 재검토 - 초기 王系의 복원을 통한 왕실교대와 국내천도 시기의 탐색 -
역사문화연구
2022 .02
백제 무왕대의 건축물 조영과 정국변화
백제학보
2018 .01
고려시대 왕사·국사 책봉 의례와 군신·사자 관계의 구현
역사와현실
2021 .03
영웅시에 투영된 왕의 이상적 이미지
신영어영문학
2015 .02
신라 중고기 영토 확장과 정치집단의 역동적 대응
역사학연구
2020 .01
唐初의 諸王 책봉제
중국사연구
2020 .01
A Survey on the Title Role of the King in The King of the Great Clock Tower
한국 예이츠 저널
2020 .01
고려 무신집권기 왕권과 의례 - 왕실 조상 숭배의례를 중심으로 -
석당논총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