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박준수 (숭실대학교) 김주연 (숭실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발행연도
2016.10
수록면
298 - 301 (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experimental study measures the physiological responses of customers as to brand cafe interior space. It is done through EEG response experiments. EEG concentration are analyzed in line with space elements at their interior space.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use SMR wave band of prefrontal lobe (Fp1, Fp2) in order to examine the degree of concentration of the space due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human object in a cafe space, and analyzed the difference. However, significant results associated with this could not be analyzed. Second, as described above limit point analysis is inadequate criterion activation of SMR wave. So is a partial degree of activation of the electroencephalogram per person must be studied at a later date the methods can be compared and analyzed by each person different. Lastly, By using only the SMR wave through this study, there is a significance to try to an analysis of the attention degree of concentration of the space. In this study, it is a neuro-design approach to find a methodology to approach scientifically the space communication of space users in the design of interior space.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실험의 개요 및 분석방법
4. 분석 결과 및 고찰
4.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619-001639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