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YOON, YONG AH (성균관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영상기술연구 영상기술연구 제25호
발행연도
2016.12
수록면
77 - 90 (1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2009년도에 영화 〈아바타〉의 세계시장 강타를 전후로 3D 영상의 세계적 관심은 뜨거웠고 대한민국도 예외는 아니었다. 3D 영상이 마치 차세대 영상시장을 대체할 유일한 포맷인 듯 전 세계는 3D관련 장비와 시설에 대한 투자와 콘텐츠의 개발에 심혈을 기울였다. 그로부터 불과 7년여가 지난 현재 3D를 거론하는 영상업계종사자는 극히 드물고 360도 3D VR을 거론하는 사람들이 주를 이룬다. 페이스북(Facebook)의 창시자 마크 주커버그(Mark Zukerberg)가 VR 헤드셋 개발업체인 오큘러스(Oculus)를 이십억 달러라는 거금을 주고 인수한데에는 이유가 있다. 2015년도 중국의 VR업계 시장규모가 한화로 약 2618억 원이나 되는 데에도 이유가 있다. 세계적으로 스마트폰의 열풍이 사그라졌다. 기업들은 지속적인 이윤을 창출할 차세대 영상시장이 필요한데 3D는 그것을 충족시키지 못했기 때문에 그들은 이제 VR시장에 주목한다. VR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할지 3D처럼 침체기를 맞을지는 아무도 모른다. 하지만 미래 영상시장점유를 위해서는 그것에 대비해야만 한다. 현재 스포츠, 게임, 쇼핑, 여행, 부동산, 건축, 의료 등의 분야에서 VR은 상당히 자리를 잡고 있고 지속적인 발전을 하고 있다. 이 논문은 그 중에서도 내러티브를 베이스로 한 360도 VR 동영상 콘텐츠의 제작과 동반되는 문제점들의 해결을 위한 대안들을 제시한다. 그것을 위해 이 논문은 최신의 VR 촬영과 디스플레이장비의 소개와 함께 장단점을 기술하고 현재까지 제작된 내러티브베이스 VR콘텐츠의 결과분석을 토대로 무엇이 최선인지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다. 기술적인 대안은 기술의 진보와 개발이 선행되어야만 해결되는 것들도 있지만 현시점에서도 해결할 수 있는 연출적인 부분들이 있기에 그것들에 대해 짚어보고 미래 영상시장의 흐름에 대비하자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Up to Date VR Equipment and Their Pros and Cons
Ⅲ. Up to Date Narrative Based 360° VR Contents and the Problems They Face
Ⅳ. Problem Solving Alternatives
Ⅴ. Conclusion
Reference
국문초록

참고문헌 (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688-002117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