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2017년 초 한국사회의 ‘정치 변혁’과 마르크스의 소환
‘나는 마르크스를 이렇게 읽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알튀세르를 너무 위험시할 필요가 있을까 : 백승욱, 『생각하는 마르크스: 무엇이 아니라 어떻게』 (북콤마, 2017)
경제와사회
2017 .06
새로운 마르크스읽기, 오래된 마르크스읽기 : 『각하는 마르크스』서평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8 .02
마르크스의 계급 개념 다시 생각하기
뉴 래디컬 리뷰
2019 .12
사회 재생산 이론: (어느) 마르크스로 돌아가기?
마르크스21
2019 .06
마르크스와 의학
뉴 래디컬 리뷰
2018 .07
마르크스의 삶과 중심 사상
마르크스21
2017 .11
마르크스의 정치학
마르크스21
2024 .07
피케티 이후 마르크스?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5 .08
인간과 자연 관계에 관한 생태 마르크스 이론
한국환경사회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6 .10
마르크스 평가절하하기
마르크스21
2016 .12
마르크스 교육론과 ‘사회변혁 교육’ 문제에 대하여
현장과광장
2021 .05
마르크스 계급 개념의 핵심 쟁점들
마르크스21
2016 .07
『자본』 발간 150주년, 남겨진 과제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7 .11
중국에서 마르크스와 마르크스주의의 충돌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8 .11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범죄에 대해 뭐라고 말했나?
마르크스21
2021 .10
새로운 마르크스-독해에서 무엇이 새로운가?: 새로운 마르크스-독해의 형성과 쟁점
마르크스주의 연구
2023 .08
마르크스 탄생 200주년에 통권 50호를 발행하며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8 .07
사회의 재봉건화에 대한 진단과 세대 논쟁의 착종 : 조귀동, 『세습 중산층 사회: 90년대생이 경험하는 불평등은 어떻게 다른가』(생각의힘, 2020)
경제와사회
2020 .09
글로벌 위기의 현실주의적 관성에 대한 세계체제론적 해부 : 백승욱, 『연결된 위기: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한반도 핵위기까지, 얄타체제의 해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생각의힘, 2023)
경제와사회
2024 .06
두 개의 마르크스, 이념의 복원과 전술적 교훈
산업노동연구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