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강민지 (홍익대학교) 윤은경 (홍익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발행연도
2017.5
수록면
35 - 40 (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As the side effect of the modern obsession over materialistic values and economic growth, contemporary society has become vulnerable to various mental trauma and stressful environments. Against such era-specific backdrop, meditation has become the focus of much attention and research as a new means of healing. However, as the research on the physical space for meditation remains scarce, this paper aims to present the potential of meditation space as a new healing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s that existing meditation spaces are simple in form and provide restrained stimulus, much in line with traditional concepts of religious meditation. In order to present the way ahead for meditation space that meets the needs of contemporary society and can serve as a new healing environment, this study analyzes the composition of meditation spaces to derive spatial and environmental design language. This study also identifies expressive design elements based on the scalability, relatability, temporality, and unconsciousness of multi-sensor stimulus. Through these elements, this study presents a way to induce a sensory experience that traditional meditation spaces lacked and thereby suggest a new healing space that can integrate the human mind and body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

목차

Abstract
1. 서론
2. 치유환경으로서 명상공간의 이론적 고찰
3. 다감각자극의 이론적 고찰과 디자인 표현요소
4. 사례조사 및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619-0007907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