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한국 한문학의 역사적 위상과 학문적 성격
2. 20세기 한국에서 한문학의 운명
3. 1975년 이후 한문학의 학적 성립
4. 한문학 35년의 성과와 앞으로의 과제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장애학적 시각과 문학 연구/비평
신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자료집
2011 .02
[시] 우두커니 : 문학
황해문화
2000 .03
[문학] 문학은 지치지 않는다
창비어린이
2014 .12
문학은 무엇이었나?
자음과모음
2011 .11
[문학] 문학이 해야 할 일
창비어린이
2015 .06
문학의 일, 문학은 일
자음과모음
2020 .03
1950년대의 문학
국어국문학
1995 .12
밤, 항구 그리고 울음 - 박현덕, 『밤 군산항』(문학들, 2020)
시조시학
2020 .06
말과 문학
한글
1939 .06
다시, 문학지
자음과모음
2019 .03
소년이 어린이가 되기까지 : 아동문학의 성립
창비어린이
2013 .06
문학으로 가는 먼 길 : 신중국 50년의 문학
황해문화
1999 .09
이것은 문학이 아니다 : 문학적인 것과 문학적이지 않은 것을 바라보는 몇 개의 시선들
자음과모음
2011 .11
아동문학은 문학인가?
창비어린이
2003 .06
「정신분석학적 성의 이해」에 대한 논평문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학술발표대회 프로시딩
2018 .06
[지정토론] 제1주제 문학에서의 환의 성립과 소멸
동서인문학
2005 .12
내가 살아온 이상 문학 : 『이상 연구』에서 『이상 문학 텍스트 연구』까지
한국현대문학회 학술발표회자료집
2010 .10
학습자의 문학 체험과 문학능력, 문학교육
문학교육학
2009 .01
세계문학, 민족문학 그리고 동아시아 문학
황해문화
2000 .06
[문학] 스마트폰과 문학
황해문화
2011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