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Introduction
2. Methods
3. Results
4. Discussion & Conclusion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A Comparative Study of Word-final Laterals : General American English vs. Metropolitan French
어학연구
2016 .08
Articulatory characteristics and variation of Korean laterals
말소리와 음성과학
2019 .03
Reanalysis of Vowel Formants in the Buckeye Corpus
언어과학연구
2020 .06
한국어 후설모음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연구-선행 인접 자음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언어과학
2020 .01
Speech recognition rates and acoustic analyses of English vowels produced by Korean students
말소리와 음성과학
2022 .06
A moraic analysis of lateral approximant in Korean
언어연구
2023 .03
어두 유음의 음성적 실현에 관한 연구 : 인접 모음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언어과학연구
2015 .12
한국어 자연발화 음성코퍼스의 연령별 모음 포먼트 비교 연구
말소리와 음성과학
2015 .09
서울 방언 단모음의 소리 변화와 음향 단서 연구 : 단일지점 포먼트와 궤적 양상
말소리와 음성과학
2016 .12
서울 방언의 단모음 변화 연구: 중세부터 현대까지
언어연구
2016 .01
Roles of dynamic lower formant patterns of vowel transitions and vowel identity in predicting the prevocalic consonant manner in Korean spontaneous speech
음성음운형태론연구
2022 .12
포만트 정보의 동적 변화특성 조사에 관한 연구
말소리와 음성과학
2015 .06
영어원어민들과 한국인들의 영어 어말 치경마찰음 발화에 대한 연구
말소리와 음성과학
2015 .09
Gender Effect on /l/-darkening in American English
언어연구
2019 .01
모음체계 유형에 따른 말소리 패턴 연구 - 3~7모음체계를 대상으로 -
언어와 문화
2015 .01
이층위 신경망 모형을 사용한 포먼트 궤적 기반 모음 유형 분류
음성음운형태론연구
2019 .04
모음변이의 실현양상과 요인에 관한 언어 유형적 고찰 - 모음의 무성화와 중설화를 중심으로 -
일어일문학연구
2019 .01
An Alternative Account of Lateral Dissimilation in English
현대영어영문학
2018 .01
Roles of temporal patterns of vowel-intrinsic cues in model identification of Korean vowels in spontaneous speech
음성음운형태론연구
2021 .08
The effects of orthography and morphological decomposability in production of -ly complex words
음성음운형태론연구
2023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