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지은 (가톨릭관동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음성학회 말소리와 음성과학 말소리와 음성과학 제9권 제3호
발행연도
2017.9
수록면
41 - 47 (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peakers use VOT and f0 to distinguish tense, lax, and aspirated stops in isolated sentence reading and paragraph readings. To do so, a total of 20 males between the ages of 20-25 years old were asked to read (1) isolated sentences, (2) information-oriented text and (3) emotional expressive texts in which the stop pronunciation’s VOT value and f0 were measured thereafter.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isolate sentence reading, lax stops, and aspirated stops were distinguished by both VOT and f0, but for the Korean men that read reading texts, VOT is not a cue to distinguish between lax and aspirated stops. In general, the VOT differences between lax stops and aspirated stops were smaller for information-oriented texts and emotional expressive texts than that of the isolate sentence reading. In the paragraph reading that induces a natural utterance, the f0 dependence is greater for the distinction between lax and aspirated stops.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및 논의
4.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700-0013450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