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머리말
Ⅱ. “國家 百年의 計”, 그리고 “復東明之舊壤”의 “壯大한 抱負”
Ⅲ. “高句麗 故土를 회복하려는 우리의 민족적 염원”
Ⅳ. “自主意識”에 기반한 “事大外交”로서의 “舊疆收復意識”
Ⅴ. “현실적 외교정책”으로서의 “사대”와 “강렬한 民族自主意識”에 기반한 “高句麗故土의 수복”
Ⅵ. 기존 연구들의 문제점과 한계
Ⅶ. 근대 국민국가의 역사학이 만들어낸 경계들을 넘을 수 있는 새로운 역사인식론의 필요성
Ⅷ. “중국”과 “우리”의 ‘사이’에서 요동과 정도전의 요동 공격 시도를 영토화시키지 않고 탈경계적으로 해석하기
Ⅸ.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朝鮮 太祖代 遼東 공격 시도에 대한 재해석 : 여말선초 동아시아의 광역적 통치질서 재구성과 ‘경계인’ 이성계
역사와 담론
2017 .10
伊藤東涯의 『三韓紀畧』편찬과 조선 연구
사학연구
2018 .03
김태준의 조선-문학-사 구상과 조선 가요 -작품들의 고고학, 문서고로서의 문학사
한국현대문학연구
2019 .12
Nurhaci in Korean Sources, 1594-1622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16 .02
삼각관계 속의 고대 조선, 존망의 순간 -기원전 4세기~기원전 2세기경 동아시아 국제관계-
한국고대사연구
2023 .12
Koreans` Perception of the Liaodong Region During the Chosŏn Dynasty : Focus on Sejong sillok chiriji (Geographical Treatise in the Annals of King Sejong) and Tongguk yŏji sŭnglam (Aug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16 .02
임진왜란 전반기 조선의 남병(南兵) 인식과 활용 방안
한국사연구
2020 .06
조선에 남은 전쟁의 상흔: 임진전쟁과 조선의 인식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서강인문논총
2024 .12
임진왜란 초기 조명 군사 협력의 양상 - 벽제관 전투 전후를 중심으로 -
한국사학보
2019 .05
Expansion, Contestation, and Boundary Making: Chosŏn Korea and Ming China’s Border Relations over the Yalu River Region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20 .08
The Chosŏn Gentry Sponsorship of Buddhist Temple Works: Insights from the Records of Late-Chosŏn Donor Ledgers
Journal of Korean Religions
2020 .01
해방 이후 고려 · 조선시대사 연구에서의 관료제설, 막스 베버, 그리고 유교적 전통의 트랜스내셔널한 발명
역사비평
2021 .11
‘요동사’와 그 이후 : 참여자와 관찰자의 시각
역사학보
2017 .06
15세기 후반 조선의 서북면 방어와 명의 遼東 진출
역사와 담론
2018 .07
주체 사관에서 인민과 민족의 자리
역사비평
2022 .08
조선의 對일 전략에 대한 일고찰 : 일본군의 남해안 철수 직후(1593.07~1594.02)를 중심으로
한일관계사연구
2021 .11
16세기 동아시아 질서에서 본 조선 對明貿易의 특징과 위상
역사학보
2017 .12
조선의 대(對) 명 · 후금 이중외교와 출병(出兵) 논쟁의 추이
한국사연구
2020 .12
고구려의 對후연관계와 요동 확보의 의미
고구려발해연구
2024 .11
임진왜란 전반기 조선의 對명 전략
역사와실학
2018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