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전연희 (경상대학교) 고성룡 (경상대학교)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第33卷 第10號 (通卷 第348號)
발행연도
2017.10
수록면
19 - 28 (1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Rural housing had been built as a type of weekend villa before the 1980s, and had been planning for residential housing after 1990s. The development size of rural housing has enlarged from isolated rural housing to rural housing complex, and rural housing developers are varied from individual demander to construction companies of rural housing or a group of people who have the same interest. And with an rising of incomes, people want high residential quality. Accordingly, people prefer rural housing in the natural environment to the urban housing of an over-populated city, and want single-family housing more than collective housing. As a result, the rural residential housing emerges as a new residential alternative. This study conducted an in-site survey, a questionnaire survey and a qualitative survey in order to find the dwelling needs of the residents living in a small rural housing complex with less than 20 households. To generalize the study results as the principle for rural housing plan, it is necessary to survey more cases and to research the dwelling needs of the residents living in various-sized rural housing complexes.

목차

Abstract
1. 서론
2. 거주요구와 단지형 전원주택의 고찰
3. 소규모 전원주택단지의 일반개요와 이주동기 조사
4. 이주 전후 거주요구 비교 분석
5.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