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들어가는 글
Ⅱ. 작가공동스튜디오 개념의‘ 논꼴 아뜰리에’: 『논꼴아트』(1965)
Ⅲ. 수행성 창출로의 이행 : 〈투명풍선과 누드〉의 관객참여와 〈한강변의 타살〉의 사회참여
Ⅳ. 관객참여 매개로서의 ‘멀티플(Multiple) 아트’ : 〈꾸밈〉 작업을 중심으로
Ⅴ. 나가는 글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강국진의 초기(1964-1974) 작업에 나타난 전위성 연구
현대미술사연구
2018 .12
강국진의 실험미술(1960-1970) -초기 행위예술부터 액션-오브제 아트(Action-Object Art)까지
조형디자인연구
2018 .01
1960-1970년대 실험미술과 매체예술에 관한 연구
현대미술사연구
2020 .12
제4집단의 퍼포먼스 : 범 장르적 예술운동의 서막
미술사학
2016 .08
1990년대 ‘테크놀로지 아트’ 전시 담론에 관한 연구
현대미술사연구
2022 .06
렉처 퍼포먼스의 미학적 잠재성과 기억의 재연(reenactment)
한국연극학
2020 .01
여성 퍼포먼스 미술과 정체성의 형성 : 타자의 위치에서 주체의 자리로
조형미디어학
2015 .02
뉴욕 현대미술관의 퍼포먼스 아트 컬렉션 확장과 의미 - 티노 세갈(Tino Sehgal)의 위임된 퍼포먼스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2021 .06
소통의 예술, 예술과 소통(예술로 통하다) 외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24 .08
1970년대 이강소의 실험미술 연구
현대미술사연구
2019 .06
소프트웨어 교육과 연계한 뉴미디어 아트 교육프로그램 개발
미술교육논총
2020 .01
예술법의 의의와 분류에 관한 연구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2018 .01
문화예술교육, 학교예술교육의 대안으로서의 고찰
한국예술연구
2018 .09
국내 도자 아트 콜라보레이션에 관한 사례연구
기초조형학연구
2021 .06
Art can do it!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24 .08
become art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18 .11
Art is everywhere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24 .08
김구림의 아방가르드에 대한 고찰 -〈매스미디어의 유물>, 제4집단 이전의 해프닝과 제4집단의 활동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2021 .10
예술은 우리 삶에서 왜 필요한가?
무용예술학연구
2017 .01
백남준 미디어 아트에 나타난 팝 아트의 특성 연구 : ‘매체 확장’과 ‘관객 참여’를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2016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