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요약
1. 서론
2. 자료 및 방법
3. 분석결과
4. 결론
References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Satellite-based Drought Forecasting: Research Trends,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021 .08
춘천지역의 기상학적 가뭄 평가
한국환경과학회지
2020 .05
Analysis of Drought Characteristics in Gyeongbuk Based on the Duration of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한국환경과학회지
2019 .10
Observational Evidence of the Disparity Between Global Drought Hazard and Public Awareness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4 .10
유효가뭄지수(EDI)를 이용한 한반도 미래 가뭄 특성 전망
한국기후변화학회지
2018 .03
일반인 인식조사를 통한 도시가뭄 정책의 개선방향 : 한국과 캘리포니아를 대상으로
한국기후변화학회지
2020 .08
Deep learning-based future drought prediction for the US drought monitor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2 .10
의사결정나무 기반 기법을 이용한 가뭄지수 예측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20 .03
Terrestrial ecosystem responses to flash drought in Europe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2 .10
기후변화에 따른 한강유역의 기상학적 가뭄지수 분석
한국습지학회지
2016 .01
KOMPSAT-2/3 위성을 활용한 강원도 인제군 소양강 상류지역의 가뭄 모니터링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018 .01
What are the challenges of predicting Northeast Asia droughts?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3 .04
표준강수지수를 활용한 제주도 가뭄의 공간적 분류 방법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2016 .11
우리나라에서 최근(1982 ~ 2020) 발생한 여름철 급성가뭄의 특성 및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기후변화학회지
2022 .06
Changes in South Korea Drought Characteristics projected by Multi Regional Climate Models with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6 .10
금강유역 2014~2016년 기상학적 가뭄과 농업가뭄간의 상관성 평가
한국습지학회지
2019 .01
Comparative transcriptome analysis of two contrasting genotypes provides new insights into the drought response mechanism in pigeon pea (Cajanus cajan L. Millsp.)
Genes & Genomics
2024 .01
The role of climate and vegetation in regulating drought-heat extremes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2 .04
가뭄 모니터링을 위한 인공위성 원격탐사자료의 활용 가능성 평가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021 .12
Plant Drought Resistance Raised by a Core Gene Cluster in Drought Tolerant Nitrogen Fixing Bacteria: Comparative Genome Study for Stress Agriculture
한국미생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9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