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Nguyễn Tài Đông (베트남 사회과학한림원)
저널정보
한국양명학회 한국양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8년도 충남대 유학연구소·한국양명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행연도
2018.4
수록면
128 - 139 (1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도덕적 진리는 인간의 내재적 사상과 외향적 표현의 통합을 말한다. 인간의 내재적 의식과 외향적 언어나 행위의 통일이다. 이러한 진리에는 사물의 본질에 대한 인지능력의 여부을 논하지 않다. 다르게 말하면 도덕적 진리에는 세계나 사물에 대한 인식은 결정적인 문제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철학은 자연철학만 있는 것이 아니다. 객관적인 세계에 대한 진리 탐구 이외에 인간이 행복을 추구하는 문제, 인격 개발 문제는 인간에 대한 탐구를 요구한다. 진리는 외적인 세계에서 비롯된 객관적인 진리만 있는 것이 아니다. 인간의 삶에 인간 존재만의 진리도 있다.
베트남 유교는 인식론적인 진리에 대한 관심보다 도덕적 진리에 대해서 더 많은 관심을 보여준다. 그런데 고대 그리스 철학과 달리 베트남 유교의 도덕적 진리는 존재론에 기울이지 않고 자연의 본질을 존재론적으로 반영한 내용으로 전개되지 않다. 인생 및 인간 존재에 대해 더 많이 관심한 것이다. 베트남 유교에서의 도덕적 진리는 심신통합(心身通合), 지행합일(知行合一)을 지향하며 객관적인 세계에 맞추거나 객관적인 사물의 기준에 초점을 맞추지 않다.
베트남 유학자들에게 오늘 날 우리가 말한 진리는 도리에 맞아야 한 곳으로 받아들여졌다. 진리는 자연 세계나 사물의 객관적인 기준이 아닌 도덕적인 법칙인 것이다. 이러한 도덕적 법칙은 『중용』의 ‘천명지위성, 솔성지위도, 수도지위교’ (天命之謂性;率性之謂道;修道之謂教)의 말처럼 하늘이 인간에게 부여한 것이다. 여기서 인식론과 도덕학은 하나로 통합된다. 지(知)는 외적 세계에 대한 인지능력이 아니라 내적 시비, 좌우, 옳고 그름을 가리는 지혜를 말한다. 이 도덕적 진리는 개인 행위의 최고 기준일 뿐만 아니라 국정의 원칙으로 정립되기도 했으며 오늘 날까지 하나의 전통을 이룬다.

목차

1. Vấn đề Chân lý đạo đức
2. Tiếp cận Nho giáo Việt Nam từ góc độ triết học
3. Chân lý đạo đức trong Nho giáo Việt Nam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