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논문요지
Ⅰ. 들어가는 글
Ⅱ. 아동의 권리에 관한 국내외적 정의
Ⅲ. 현행법상 아동학대의 유형과 현황
Ⅳ. 아동학대 유형에 따른 법원의 판단
Ⅴ. 아동학대의 유형에 대한 새로운 정의 - 적극적 학대와 소극적 학대 -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2016. 5. 12. 선고 2015도6781 판결
구 아동복지법(2014. 1. 28. 법률 제1236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7조 제3호는 “아동의 신체에 손상을 주는 학대행위”를 금지행위의 하나로 규정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신체에 손상을 준다’란 아동의 신체에 대한 유형력의 행사로 신체의 완전성을 훼손하거나 생리적 기능에 장애를 초래하는 `상해’의 정도에까지는 이르지 않더라도 그에 준하
자세히 보기울산지방법원 2017. 8. 4. 선고 2017노542 판결
[1] 아동복지법 제3조 제7호는 `아동학대’란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의 건강 또는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신체적·정신적·성적 폭력이나 가혹행위를 하는 것과 아동의 보호자가 아동을 유기하거나 방임하는 것’이라고 규정하고, 같은 법 제17조 제3호에서 `아동의 신체에 손상을 주거나 신체의 건강 및 발달을 해치는 신체적
자세히 보기대구지방법원 2015. 4. 23. 선고 2014노2526 판결
자세히 보기춘천지방법원 2016. 1. 22. 선고 2015고단651 판결
어린이집 보육교사인 피고인이, 낮잠을 자기 위해 누워 있던 원아인 갑(3세)에게 휴대전화로 무서운 영상을 틀어 주어 이를 시청한 갑이 다리가 떨릴 정도로 극도의 공포심을 느껴 울게 함으로써 아동복지법상 정서적 학대행위를 하였다는 내용으로 기소된 사안에서, 아동복지법상 아동학대죄에서 정서적 학대행위는 유기에 준할 정도로 아동을 보호 없는 상태에 둠으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5. 12. 23. 선고 2015도13488 판결
구 아동복지법(2014. 1. 28. 법률 제1236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7조는 아동에 대한 금지행위로 제3호에서 `아동의 신체에 손상을 주는 학대행위’를 규정하고, 별도로 제5호에서 `아동의 정신건강 및 발달에 해를 끼치는 정서적 학대행위’를 규정하고 있는데, 아동의 신체에 손상을 주는 행위 가운데 아동의 정신건강 및 발달에 해를 끼치지 않는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0. 4. 25. 선고 2000도223 판결
[1] 구 아동복지법(2000. 1. 12. 법률 제6151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18조 제5호는 `아동에게 음행을 시키는` 행위를 금지행위의 하나로 규정하고 있는바, 여기에서 `아동에게 음행을 시킨다`는 것은 행위자가 아동으로 하여금 제3자를 상대방으로 하여 음행을 하게 하는 행위를 가리키는 것일 뿐 행위자 자신이 직접 그 아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4. 5. 14. 선고 2004도74 판결
[1] 범죄구성요건의 주관적 요소로서 미필적 고의라 함은 범죄사실의 발생 가능성을 불확실한 것으로 표상하면서 이를 용인하고 있는 경우를 말하고, 미필적 고의가 있었다고 하려면 범죄사실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있음은 물론 나아가 범죄사실이 발생할 위험을 용인하는 내심의 의사가 있어야 하며, 그 행위자가 범죄사실이 발생할 가능성을 용인하고
자세히 보기수원지방법원 2017. 5. 11. 선고 2016고합664 판결
생후 약 8개월 된 아동 갑의 부(부)인 피고인이, 갑이 타고 있던 유모차를 1분여 동안 앞뒤로 강하게 흔들고, 계속하여 울고 있던 갑의 겨드랑이에 양팔을 낀 채 갑을 빠르고 강하게 위아래로 흔들거나 피고인의 머리 뒤로 넘겼다가 무릎까지 빠른 속도로 내리면서 흔드는 행위를 반복하다가 갑을 머리 뒤로 넘긴 상태에서 놓쳐 거실 바닥에 떨어뜨린 결과 사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보호자에 의한 아동학대 대책에 관하여: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을 중심으로
치안정책연구
2021 .01
아동학대의 초기 대응체계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을 중심으로
법과사회
2021 .01
아동 학대 예방을 위한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가정 내 정서 학대를 중심으로
한국범죄정보연구
2017 .01
아동학대 범죄의 예방 및 피해아동 보호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2018 .01
아동학대범죄 조사 및 수사절차에 관한 검토
비교형사법연구
2021 .10
아동학대 피신고 교원들의 아동학대 관련 법률 개선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024 .09
[논문] 아동학대의 개념 및 실효적인 대책에 관한 검토 :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을 중심으로
법학연구
2015 .12
초등학생 부모의 아동학대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2020 .01
아동학대에 관한 신임 경찰교육생의 인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국가안보·국민안전학회지
2021 .12
학대 피해아동보호명령제도의 실태와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교정연구
2017 .01
아동 재학대에 대한 법제도적 대응방안 -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을 중심으로 -
법학논총
2021 .01
아동학대에 대한 대응수단으로서의 형법 - 2020년의 아동복지법과 아동학대범죄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의 개정을 중심으로 -
비교형사법연구
2021 .01
토픽모델링을 통한 가정 내 아동학대범죄 유형화
피해자학연구
2022 .04
아동학대의 통합적 접근방법에 따른 경찰 역할 강화방안
한국치안행정논집
2017 .08
바람직한 아동학대방지정책 마련을 위한 제언
형사정책연구
2016 .09
아동학대의 발생구조에 기초한 아동학대 예방 및 피학대아동 보호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Ⅱ) : 보육기관 내 아동학대를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23 .12
아동학대 정책 평가: 생태적학대방지모델의 적용
입법과 정책
2016 .01
아동보호를 위한 국가의 역할과 책임 : 가정 내 아동학대를 중심으로
이화젠더법학
2020 .08
우리나라의 아동학대 현황 및 법적 규율
사회보장법연구
2022 .06
경찰의 아동학대 대응체계에 관한 제언 - 학대예방경찰관(APO) 제도의 개선을 중심으로 -
법학평론
2022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