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도현철 (연세대학교)
저널정보
역사비평사 역사비평 역사비평 2018년 겨울호(통권 제125호)
발행연도
2018.11
수록면
207 - 237 (32page)
DOI
10.38080/crh.2018.11.125.207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founding Joseon Dynasty associated with the acceptance of Neo-Confucianism by appealing to the realization of governance in humanities based on Confucianism’s original thinking. Neo-Confucianism contributed to establishment of the moral society with the acceptance of the theory of human nature combined with the educational function of Buddhism i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In addition, the institutional theory was proposed for rectifying private ownership and struggle along with the theory of human nature as social change was accelerated. After the foundation of Joseon Dynasty the institution of Neo-Confucianism was put into practice and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Confucianism was set up in order to realize reformism suggested i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Thus Joseon Dynasty paved the way to the Governance in Humanities Society through socializing and institutionalizing Confucianism.

목차

1. 머리말
2. 성리학의 수용과 실천윤리의 강화
3. 성리학의 제도화와 문치 확대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3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905-000214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