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현주은 (중앙대학교) 임희주 (단국대학교)
저널정보
미래영어영문학회 영어영문학 영어영문학 제24권 제1호
발행연도
2019.2
수록면
201 - 219 (19page)
DOI
10.46449/MJELL.2019.02.24.1.201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Recentl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y using multimedia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have increased. Especially, Artificial Intelligent (AI) has been utilized variously in education as technology has developed.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applications of AI system. Therefor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ness of AI application in English learning by analyzing the data from AI speakers. Two AI speakers, Alxesa and Google home, were chosen and designed 12 questions were asked to AI speaker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speakers’ utterance was too difficult and fast to understand for low and intermediate leveled English learners. However, sociocultural aspects, language pun or other rhetorical expressions were included in their utterance so that it could be used for high leveled English learners to be exposed to authentic English. On the technical point of view, this study suggested that successive turn-taking, various answers, and the feedback of language errors be considered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AI speakers for English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7)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740-000510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