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정석 (클라우드앤) 전상수 (클라우드앤) 신승욱 (한국농어촌공사) 박미란 (한국농어촌공사) 주정민 (한국농어촌공사)
저널정보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제13권 제1호
발행연도
2019.2
수록면
28 - 45 (1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According to the `Renewable Energy 3020 Implementation Plan` in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renewable energy accounts for 7% of total electricity generation by 2016. It plans to expand renewable energy to 20% by 2030. The 48.7 GW of renewable energy will be installed to success clearly this project and the 10 GW of renewable energy should be supplied at rural areas. The Agricultural Land Act has been amended to install photovoltaic facilities in reclaimed land and reservoirs in the agricultural promotion zone. In addition, the government is considering ways to utilize idle state property such as the roofs of home, shared building, and shared warehouse. The rural area is the most likely to be considered in the promising renewable energy supply sect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energy performance of the buildings in rural areas and to improve the applicability of renewable energy.

목차

ABSTRACT
서론
농촌마을 정의 및 후보지 선정
현장조사를 통한 대상 농촌마을 분석
농촌마을의 신재생 에너지 적용성 검토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18)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546-00048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