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머리말
2. 우리말샘 어휘 역사 정보의 현황
3. 문제점과 개선 방안
4. 현재의 문제점을 보완한 대안적인 역사 정보 예시
5. 맺음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샘 치기
수필미학
2017 .06
≪우리말샘≫의 정착과 발전을 위하여
새국어생활
2016 .00
≪우리말샘≫ 편찬 경과
새국어생활
2016 .00
〈표준국어대사전〉과 〈우리말샘〉으로 살펴보는 21세기 ‘인공 지능’ 어휘 고찰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3 .06
역사 자료 어휘 분석기 개발을 위한 어휘부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6 .02
〈표준국어대사전〉과 〈우리말샘〉으로 살펴보는 21세기 ‘인공 지능’ 어휘 고찰 -토론문-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3 .06
〈표준국어대사전〉의 ‘어원정보’와 〈우리말샘〉의 ‘역사정보’의 괴리에 대한 고찰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5 .02
사용자 참여형 국어사전 《우리말샘》의 이용 양상 분석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8 .02
‘〈표준국어대사전〉의 ‘어원정보’와 〈우리말샘〉의 ‘역사정보’의 괴리에 대한 고찰’에 대한 토론문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5 .02
[동화의 명삽화_샘마을 몽당깨비] 펜으로 그린 부드러운 밤
창비어린이
2015 .03
‘사용자 참여형 국어사전 《우리말샘》의 이용 양상 분석’에 대한 토론문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8 .02
‘역사 자료 어휘 분석기 개발을 위한 어휘부’에 대한 토론문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6 .02
≪우리말샘≫의 활용과 발전 방향: 신어, 생활 용어의 구축
새국어생활
2016 .00
뿌리 깊은 나무는 넘어짐이 없고 샘이 깊은 물은 마름이 없다.
신학과 목회
2020 .06
사전과 신어- 국립국어원 ≪우리말샘≫을 중심으로 -
새국어생활
2019 .09
<우리말샘>의 辭典的 機能과 方向性에 대한 硏究 –規範性과 非規範性을 中心으로–
어문연구(語文硏究)
2022 .03
분야별 일반어휘, 학문어휘 및 기타어휘 비율 비교 분석 - 경영학, 생물학, 영어교육학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
人文科學硏究
2017 .01
우리말샘(개방형 한국어 지식 대사전)을 활용한 신어 연구
인문과학연구
2017 .03
자료가 말하는 남북한 음악극의 접점과 균열, 그리고 실증적 연구의 한계 - 정명문, 『정명문의 한반도 음악극』(미디어샘, 2020) -
어문론총
2020 .01
친절한 신자 샘의 사진 수업 이야기 : 프레임 속에서 나를 만나다, 세상을 만나다
함께 여는 국어교육
2020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