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들어가는 글
Ⅱ. 원동고려문단의 민족문학사적 위상과 그 의미
Ⅲ.『로력자의 고향』작품에 나타난 고려인 사회의 역사 문화적 특징
Ⅳ. 문예창작집『로력자의 고향』의 문화사적 가치와 의미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 속의 러시아 : 고려인마을을 중심으로
동서인문학
2016 .12
디아스포라 고려인 시에 나타난 조국과 고향의 변화양상
어문연구(語文硏究)
2015 .12
영토와 영광: 러시아 우주 개발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2015 .01
전후 북한에서의 소련계 숙청과 국적 문제(1954~1958)
동북아역사논총
2017 .06
냉전 시기 소련-북한의 비대칭동맹과 북한의 자주외교
슬라브硏究
2019 .01
접경지대에 남겨진 조선어 - 소비에트 시대 사할린 코리언들의 언어 문제
역사비평
2021 .08
러시아 역사 교육의 현안들 - 역사 교육의 목적, 역사 교과서, 단일국가시험 역사과목을 중심으로
슬라브학보
2019 .12
Korean and Chinese Settlers and Migrant Workers in the Soviet Far East (1920–1930)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23 .06
1946년 여름 슈티코프 보고서와 북한의 국가 토대 형성
역사비평
2015 .08
1920년대 극동지역 고려인 여자대표회 연구 -『 선봉』에 기초하여 -
재외한인연구
2019 .01
중앙아시아 고려인사회의 정체성과 홍범도 인식(1937~1964)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16 .08
북한 역사학과 소련 역사학의 관련성 - 1945년부터 1963년까지
한국학연구
2021 .06
소련과 서방의 경제-기술 교류: 1965~1975년 식품공업부 사례를 중심으로
서양사연구
2023 .05
북한의 제1차 5개년계획(1957~61) 초안과 탈소련화의 개시
역사학보
2021 .03
1990년대 러시아 공익광고의 양상과 ‘새로운 러시아’ 이미지 구축 전략
슬라브학보
2021 .12
1950년대 소련에 번역·출판된 한국문학 연구
국제한인문학연구
2024 .08
프랑스의 소비에트 영화 수용 양상에 관한 연구(1945-1955)
동유럽발칸연구
2017 .08
전후초기 중국 동북지역 적산처리를 둘러싼 중미소의 갈등
탐라문화
2016 .06
고려인문학에 나타난 낯선 장소와 공간 연구 : 문화지리학으로 읽는 고려인문학
한국문학과 예술
2018 .03
구소련 국가들의 주권에 대한 러시아 측 시각과 소비에트 시기 민족공화국의 법적 지위: 러시아 문명주의 역사관에 대한 일고찰
슬라브학보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