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배경 및 목적전 생애 발달단계 중 청소년 후기 또는 성년 초기에 속하는 대학생 시기는 직업세계로 입문하기 전 전문성을 준비해야 하는 시기이다. 이에 대학생들은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고, 준비해야 하는 발달과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통계청 자료조사에 따르면 청년 실업률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고, 이에 대학 졸업을 유예하고 있는 학생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대학생들의 진로 관련 문제를 효율적으로 풀어나가기 위해서는 다양한 시각의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진로 연구는 인지적 영역의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으며 진로준비행동과 같은 행동적 연구가 최근 들어 주목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진로준비행동을 촉진하는 상담 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연구방법 및 범위1.연구방법본 연구는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각 변인 별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여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백분율 등의 기술 통계분석을 사용하였다. 셋째, 가족의지지, 진로동기,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를 검토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가족의지지, 진로동기, 진로준비행동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가족의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진로동기의 매개효과를 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부트스트랩(Bootstrap)을 실시하여 매개 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2. 연구범위대학교 재학 중인 남,여 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연구결과첫째, 가족의지지, 진로동기,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의 지지는 진로준비행동과 정적 상관을 보여 가족의 지지가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의지지, 진로동기, 진로준비행동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립변인인 가족의 지지가 종속변인인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매개변인인 진로동기가 독립변인인 가족의 지지를 통제한 상태에서 종속변인인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독립변인인 가족의 지지가 매개변인인 진로동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가족의 지지와 진로동기를 동시에 투입한 결과 진로동기는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매개변인인 진로동기를 고려한 상태로 가족의 지지는 β계수가 다소 떨어지기는 했으나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진로동기는 가족의지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support,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ith university students. In particular, main purpose was to see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s mediated or not by career motivation. A total of 370 students who were sampled from universities in Jeolla-do and Chungcheongnam-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ee kind of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on the above 3 variables. Statistical procedures such as correlational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applied for analyzing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correlational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upport,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Second, the analysis of gender differences in family support,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howed tha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career motivation played as a partially mediator while family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uch results verified that career motivation is a very important mediating variab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ort of famil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inally, the limitation of the study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ies are as follow: First, the measurement method of this study were all collect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 Second, In this study, the mediator effect was verified by the hierarchical regression method, but in the subsequent study it is requir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more accurately by verifying it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ird, The other study are required for more synthetic understanding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evelop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career counseling and career gu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