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윤태관 (국토연구원)
저널정보
국토연구원 국토정책 Brief 국토정책 Brief 제748호
발행연도
2020.1
수록면
1 - 6 (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1] 자율주행차 시장이 급성장함에 따라 정부는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2022년까지 완전 자율주행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수립 중
[2] 개인 승용차로서의 완전 자율주행차는 개인 구매 부담이 크고 다양한 법·제도 문제를 안고 있음. 따라서 돌발 상황 빈도가 낮아 비교적 높은 안전성이 확보된 대중교통 형태로 우선적으로 도입될 것으로 예상됨
[3] 국내·외 여러 도시에서 자율주행 소형버스를 활용한 셔틀서비스가 시범 운행 중이며, 대형버스를 활용한 기존 대중교통서비스(광역·간선·지선·순환)를 대체하는 방안도 검토 중에 있음
[4] 국내 자율주행 기술개발 완료 시점을 고려한 결과, 자율주행 도입은 2022년경 폐쇄형 자율주행 BRT(Bus Rapid Transit)를 시작으로 일반 차량과 혼재해 운행하는 셔틀 및 지선, 수요응답형 서비스 순으로 예상
[5] 다양한 자율주행 대중교통서비스를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도로·교통 인프라 관리, 시설물 개선, 정보통신 인프라와 관제센터 구축·운영, 관련 법·제도 개선이 필요

목차

[요약]
[정책방안]
[1. 자율주행 시대와 대중교통]
완전 자율주행 시대 도래
완전 자율주행차량은 승용차보다 대중교통이 먼저 도입
[2. 국내·외 자율주행 대중교통 동향]
기술개발 실증이 활발히 진행
[3. 국내 자율주행 대중교통서비스 도입시기와 효과]
완전 자율주행 대중교통은 2022년경 BRT 운행서비스로 가장 먼저 도입 예상
[효과 1] 연간 319억 원의 사고비용 감소
[효과 2] 대중교통서비스 만족도 향상
[효과 3] 공간 효율화, 환경오염 감소 등의 간접효과
[4. 자율주행 대중교통 도입을 위한 정책방안]
도로·교통, 시설물, 정보통신 등 자율주행 대중교통 첨단인프라 지원
자율주행 대중교통의 효율적 도입을 위해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등 법·제도 개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