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초음파 유도하 경추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임상결과를 방사선 유도하 경추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한 환자들과 비교하고 합병증 및 수술 비율 등에 대해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경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진단된 환자들에 대해 2015년 5월 1일부터 2018년 2월 8일까지 초음파 유도하 경추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한 97예와 2010년 6월 1일부터 2017년 8월17일까지 방사선 유도하에 시행한 94예 환자들의 경추통과 방사통을 시술 전과, 3주, 6주 후 verbal numeric rating scale (VNRS)을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시술과 연관된 합병증 유무도 의무기록을 통해 조사하였다. 결과: 초음파 유도하 경추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한 97예 중 66예가 연구에 포함되었고 이들의 평균 연령은 57세였다. 남성이 41명 여성이 25명이었고 목표 신경근은 경추 5번이 8예, 6번이 37예, 7번이 21예였다. 방사선 유도하 경추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한 94예 중 77예가 연구에 포함되었고 이들의 평균 연령은 55세였다. 남성이 40명, 여성이 37명이었고 목표 신경근은 5번이 6예, 6번이 42예, 7번이 26예, 8번이 3예였다. 시술 후 경추통의 numeric rating pain scale은 초음파 유도하의 경우 중간값 5.4점에서 3주, 6주에 2.7점, 1.4점으로 감소하였고(p=0.0023, p<0.001), 방사선 유도하의 경우 시술 전 중간값 6.2점에서 3주에 3.1점, 6주에 1.5점이었다(p<0.001, p<0.001). 방사통의 경우 초음파 유도하 차단술의 경우 시술 전 중간값 6.3점에서 3주에 2.8점, 6주에 1.5점으로 호전되었고(p<0.001,p<0.001), 방사선 유도하의 경우 시술 전 7.4점, 3주, 6주에 3.3점, 1.9점으로 감소하였다(p<0.001, p<0.001). 합병증의 경우 방사선 유도하 차단술의 경우 호너 증후군이 1예, 간대성 근경련이 1예였으며 초음파 유도하 차단술의 경우 일시적인 수부 부종을 호소하는 1예가 있었다. 결론: 초음파 유도하 경추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임상결과는 방사선 유도하 경추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한 환자들과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urpose: This paper compares the clinical outcomes of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a cervical nerve block by ultrasound and C-arm and reports the complication.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97 patients were treated with an ultrasound-guided nerve root block from May 1, 2015 to February 8, 2018. On the other hand, 94 patients were treated with a C-arm guided nerve root block. The consequences of the cervical pain and the radiating pain before and after the procedures were reviewed using the verbal numeric rating scale (VNRS). In addition, the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procedures from the daily notes from the chart were inspected. Results: Sixty-six cases out of 97 cases of ultrasound-guided nerve root block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57 years, including 41 males and 25 females. Seventy seven out of 94 cases by a C-arm guided root block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55 years, including 40 males and 37 females. Before the nerve root block, the mean numeric rating pain scale (NRS) of the cervical pain in ultrasound-guided block decreased from 5.4 points to 2.7 points at three weeks and 1.4 points at six weeks (p=0.0023, p<0.001), and 3.1 points in the C-arm (p<0.001, p<0.001) at three weeks and 1.5 points at six weeks (p<0.001, p<0.001). In the case of radiating pain, the mean NRS in the ultrasound-guided nerve root block group improved from 6.3 points after the procedure to 2.8 points at three weeks and 1.5 points at six weeks (p<0.001, p<0.001). In the C-arm guided nerve root block group, the NRS improved from 7.4 points after the procedure to 3.3 points at three weeks and 1.9 points at six weeks. In the case of complications, Horner"s syndrome and propriospinal myoclonus were observed in one case of C-arm guided block group. Conclusion: The clinical results of the patients who underwent ultrasound-guided cervical nerve root block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who underwent a C-arm guided cervical nerve root blo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