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임희지 (서울연구원) 양은정 (서울연구원) 김하영 (서울연구원)
저널정보
서울연구원 서울연구원 정책과제연구보고서 [서울연 2018-PR-30] 서울시 슈퍼블록 주택지 특성과 진화방향
발행연도
2018.12
수록면
1 - 133 (133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housing area of Seoul is about 58% of the total city area, and a large proportion of the city area is planned with the rapid expansion of the city. The residential area constructed by the concept of superblock technique accounts for about 60% of the housing area, and 364 of them are distributed in total, small-size residential type 92(25%), apartment complex type 140(40%), and complex type 132(35%).
Compared with Radburn system and Perry’s superblock residential model and Seoul city, the superblock type is applied differently. Small-size residential areas are similar only in the form of superblock, and there is little planning consideration in terms of complexity such as green space, walking, and separation of roads. Under the high planning density, reconstruc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multirespectively. Apartment complexes were developed with proper density for high–density apartment residential type by adopting the concept of separating roads centering on road networks that do not allow passage traffic on a scale that can be moved by walking.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urbanity, such as connection with surrounding areas and formation of a center.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xed area by determining the degree of mixture of small residential areas and apartment complexes.

목차

[표지]
[요약]
서울시내 주택시가지 중 슈퍼블록 주택지는 364개소로 약 60% 차지
슈퍼블록 주택지 중 소형주택지는 단지성, 아파트단지는 도시성 미흡
소형주택지는 고밀화·상업화, 아파트단지는 폐쇄성 개선이 주요 과제
계획단위인 슈퍼블록 단위로 주택지 개선하는 정책적 접근법이 필요
주거지 인구밀도 기준, 초고밀지구 관리 위한 제도적 근거 마련해야
소형주택지 슈퍼블록, 새로운 재생모델 개발·지구단위계획 적용 필요
아파트단지 슈퍼블록, 거주성보다 도시성 개선하는 재건축기준 세워야
[목차]

그림
[01. 연구개요]
1_연구배경 및 목적
2_연구의 접근방법과 주요내용
3_슈퍼블록의 개념과 형성과정
[02. 서울시 슈퍼블록 주택지의 근린형성 실태]
1_서울시 슈퍼블록 주택지의 유형분류 및 분석틀
2_서울시 슈퍼블록 주택지의 유형별 근린형성 특성
3_슈퍼블록 유형별 특성 비교 종합
[03. 슈퍼블록 주택지 세부유형별 특성 분석]
1_도시근린으로서 슈퍼블록의 진화방향
2_슈퍼블록 주택지의 유형 세분화
3_세부유형별 특성과 과제
4_세부유형별 과제 종합 및 시사점
[04. 도시근린으로서 슈퍼블록 주택지 발전방향]
1_슈퍼블록 주택지의 진화를 위한 기본방향
2_소형주택지 슈퍼블록의 발전방향
3_아파트단지 슈퍼블록의 발전방향
[05. 결론 및 정책제언]
[참고문헌]
[Abstract]
[Contents]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359-000366687